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중요무형문화재 한지장(韓紙匠) 지정 및 보유자 인정
등록일
2005-09-23
주관부서
작성자
문화재청
조회수
13970




  문화재청(청장 유홍준)은 지난 9월 16일 문화재위원회(무형문화재분과)의 심의를 거쳐 전통 한지를 제작하는 기술 '한지장(韓紙匠)'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하고, 류행영(柳行永, 남, 1932년생, 경기 용인시)을 기능보유자로 인정 하였다. 이번 한지장 지정 및 보유자 인정은 문화재청이 추진하고 있는 전통공예기술 발굴사업의 한 성과이다. '한지장(韓紙匠)'이란 전통한지를 제작하는 장인으로 한지는 닥나무와 황촉규(黃蜀葵)를 주재료 하여 고도의 숙련된 기술과 장인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완성된다. 닥나무를 베고, 찌고, 삶고, 말리고, 벗기고, 다시 삶고, 두들기고, 고르게 썩고, 뜨고, 말리는 아흔아홉 번의 손질을 거친 후 마지막 사람이 백번째로 만진다 하여 옛사람들은 한지를 “백지(百紙)”라 부르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의 한지는 고려시대부터 그 명성이 높아 중국인들도 제일 좋은 종이를 ‘고려지(高麗紙)’라 불렀고, 송나라 손목(孫穆)은 ꡔ계림유사(鷄林類事)ꡕ에서 고려의 닥종이는 빛이 희고 윤이 나서 사랑스러울 정도라고 극찬하였다. 조선시대에는 태종대부터 조지서(造紙署)를 설치해 원료 조달과 종이의 규격화, 품질 개량을 위해 국가적 관심사로 관리해오다가 근·현대를 지나오면서 건축양식과 주거환경의 변화, 서양지의 수입으로 전통적인 한지의 명맥은 거의 단절되기에 이르렀다. 오늘날에도 한지제작은 생산원가와 제작공정의 편의로 닥나무 껍질 대신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수입한 펄프를 사용하고, 황촉규 대신 화학약품인 팜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숨김없는 사실이기도 하다. 이에 문화재청에서는 전통한지의 올바른 보존과 전승을 위해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번 한지장 지정은 문화재청의 ‘무형문화재 전통기술분야 발굴사업’의 신청자와 시도에서 추천된 총 4명의 장인을 대상으로 3차례에 걸친 정밀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번에 한지장 보유자로 인정된 류행영(柳行永: 1932년생, 남)은 50 여년간 한지를 제작해온 장인으로 한지의 주요 원료인 닥나무와 황촉규를 직접 재배하고 있으며, 한지제작 전과정에 대해 다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한지를 제작하고 있었다. 특히 그동안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한지의 품질 개량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그 결과 닥나무를 삶을 때 알카리도가 높은 고추줄기를 태운 재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개인적 경험을 축적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종이를 뜨는 초지(抄紙-종이 뜨는 기술) 기술면에서는 전통 제작방법인 외발뜨기 기술을 지키고 있으며, 특히 천연염료를 이용한 다양한 색지와 얇은 종이, 초상화지라 일컫는 큰 종이를 제작하는 기술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번 ‘한지장’ 지정 및 인정은 전승단절의 우려가 있는 전통한지 제작 기능의 맥을 되살릴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또한 앞으로도 문화재청은 전승단절의 우려가 있는 전통공예기술의 지속적인 발굴을 통해 우리 문화의 맥이 끊어지지 않고 계승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계획이며, 아울러 한지를 비롯한 전통공예기술이 다양한 수요창출을 통한 전승기반 확충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자 한다. 담당자 : 무형문화재과 류춘규
연락처 : 042-481-4968, abc4701@ocp.go.kr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이전글
중요무형문화재 제117호 한지장 류행영 명예보유자 별세
다음글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