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국영문 동시배포) 금·은빛 바람을 담은 고려 사경, <묘법연화경 권제6> 돌아오다
등록일
2023-06-15
주관부서
국제협력과
작성자
문화재청
조회수
1904

<묘법연화경> 주요 내용 그린 ‘변상도’와 글씨 옮겨 적은 ‘경문’ 등 구성... 언론 공개(6.15.)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6월 15일 오전 10시 30분 국립고궁박물관(서울 종로구)에서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김정희, 이하 재단)을 통해 일본에서 환수한 고려 사경(寫經)《묘법연화경 권제6(妙法蓮華經 卷第6)》을 언론에 공개한다.
※ 묘법연화경 권제6(妙法蓮華經 卷第6) - 14세기 제작 추정 / 감지에 금·은니 필사
크기: (접었을 때) 세로 27.6㎝ × 가로 9.5㎝ / (펼쳤을 때) 가로 1,070㎝ / (두께) 1.65㎝

《묘법연화경 권제6》은 감색(紺色) 종이에 경전의 내용을 금·은니(金·銀泥)로 필사하여 절첩본(折帖本)으로 만든 고려 사경(寫經)으로, 지난해 6월 소장자가 재단에 매도 의사를 밝히면서 처음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후 문화재청의 행정지원과 수차례에 걸친 재단의 면밀한 조사와 협상을 거쳐 올해 3월 국내로 들여오는 데 성공했다.
* 금·은니(金·銀泥): 금 또는 은가루를 아교풀에 개어 만든 안료
* 절첩본(折帖本): 병풍처럼 접는 식으로 만들어진 책의 형태

사경(寫經)은 불교 경전을 옮겨 적은 경전을 의미하는데, 본래 불교 교리를 전파하기 위해 제작되었으나 점차 발원(發願)을 통해 공덕(功德)을 쌓는 방편으로 여겨져 널리 제작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고려시대에 사경 제작이 성행하였으며, 국가 기관인 사경원(寫經院)을 통해 국가의 안녕을 빌거나 개인적 차원에서 돌아가신 부모의 극락왕생 등을 바라는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 발원(發願): 부처에게 소원이나 바라는 것들을 빎
* 공덕(功德): 착한 일을 하여 쌓은 업적과 어진 덕
* 사경원(寫經院): 불교의 경전을 옮겨 적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묘법연화경》은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있음을 기본사상으로 한 경전이다. 총 7권 중 제6권에 해당하는 《묘법연화경 권제6》은 묘법연화경 전파의 중요성과 공양 실천에 대한 강조를 주 내용으로 한다. 특히, 내용 중 23품에 해당하는 ‘약왕보살본사품(藥王菩薩本事品)’에는 묘법연화경이 ‘여러 경전 가운데 제일’이며, ‘이 경전을 듣고 스스로 쓰거나 다른 사람을 시켜 쓰면, 그 얻는 공덕은 부처님의 지혜로 그 많고 적음을 헤아려도 그 끝을 알 수 없다’ 고 적혀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중국 후진(後秦, 384-417) 시대의 승려 구마라집(鳩摩羅什, 344-413)이 번역한 7권 28품의 《묘법연화경》이 가장 널리 유통되었으며, 금번 환수된 유물은 구마라집 한역본(漢譯本) 7권 중 제6권을 옮겨 적은 것으로, 18품에서 23품까지의 내용이 담김
* 약왕보살본사품(藥王菩薩本事品): 자신의 몸을 태워 공양했다는 ‘약왕보살’의 전생을 설법하며 수행자들의 정진을 권하는 내용이 담김

구성을 살펴보면, ▲ 표지에는 4개의 금니로 그려진 연꽃이 수직으로 배치되었고, 넝쿨무늬가 은니로 여백 없이 그려졌으며, 그 위로 사각의 칸을 두어 경전의 제목을 적었다.

▲ 경전의 내용을 압축하여 묘사한 변상도(變相圖)는 4개의 화면(畫面)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면 우측에는 묘법연화경을 설법하는 석가모니불과 그 권속이 그려져 있으며, 좌측에는 사람들이 성내며 돌을 던져도 ‘그대들은 모두 성불하리라’고 말하는 상불경보살품(常不輕菩薩品/제20품)의 장면, 타오르는 화염 속에 자신의 몸을 바쳐 공양하는 약왕보살본사품(藥王菩薩本事品/제23품)의 장면 등 《묘법연화경 권제6》의 내용 가운데 가장 극적인 장면들이 담겨있다. 특히 화면 우측의 설법 장면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화면을 선으로 빼곡하게 채운 점 등에서 14세기 후반 고려 사경의 특징이 드러난다.
* 권속(眷屬): 불·보살을 따르며 불법을 닦는 자
* 상불경보살품(常不輕菩薩品): 《묘법연화경》의 제20품으로, 갖은 어려움 속에서도 만나는 사람마다 가벼이 여기지 않고 성불할 것이라고 전한 ‘상불경보살’의 행적을 통해 수행의 모범을 제시하는 내용

▲ 한편, 총 108면에 걸쳐 이어지는 경문(經文)은 한 면당 6행씩, 각 행에는 17자의 글자가 적혀 있으며, 금니로 경계를 그리고 은니로 글자를 정성스럽게 적은 형태이다.

이번에 공개하는《묘법연화경 권제6》은 불교문화유산으로서의 종교적 가치와 뛰어난 미적 가치를 함께 자랑하며, 700년에 가까운 시간이 흘렀음에도 보존 상태가 양호해 향후 다양한 연구와 전시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재청과 재단은 이번 환수 문화유산의 공개가 고려 사경의 아름다움과 그 속에 담긴 고려인의 바람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적극 행정과 현지 협력망 확대를 통해 국외 중요 한국 문화유산의 발굴과 환수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이번 문화유산 환수는 복권기금으로 추진되었다.  



On June 15, 2023 at 10:30 a.m.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located in Jongno-gu, Seoul),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A; Administrator: Choi Eung-chon) will introduce to the press a Goryeo-era transcribed manuscript of Vol. 6 of Saddharmapundarika Sutra (hereafter the Lotus Sutra). It has recently been returned from Japan through the efforts of the Overseas Korean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OKCHF; Chair: Kim Jung-hee).

※ Saddharmapundarika Sutra (The Lotus Sutra), Vol. 6
Presumably produced in the 14th century / transcribed in gold and silver on indigo paper
Size: (folded) H. 27.6 cm × W. 9.5 cm, (unfolded) W. 1,070 cm, (thickness) 1.65 cm

The volume 6 of the Lotus Sutra is a Goryeo-era manuscript that contains content from the Lotus Sutra transcribed on indigo paper using geumni and eunni (gold and silver paints). It is bound in a jeolcheopbon (concertina) format. The existence of this manuscript became known in June 2022 when its owner expressed an intention to sell it to the OKCHF. With active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CHA, the OKCHF successfully completed the repatriation this March after several in-depth investigations and thorough negotiations.

* Geumni•eunni: Pigments made by mixing gold or silver powders with glue
* Jeolcheopbon: An edition of a book bound in a folding screen format

Sagyeong refers to hand-copied Buddhist sutras. Such transcribed sutras were originally produced to propagate Buddhist doctrine, but they came to be considered a means to accumulate merit through sutra transcription. The production of transcribed sutras was popular in Korea, particularly during the Goryeo Dynasty. Goryeo-era transcribed sutras were produced at the state level to wish for the wellbeing of the country and on the individual level to pray for deceased parents’ rebirth in paradise.

The Lotus Sutra centers on the fundamental principle that all beings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Buddhas. The sixth volume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the transmission of the Lotus Sutra and the practice of making offerings. In particular, the twenty-third chapter “Ancient Accounts of Bhaiṣajyarāja Bodhisattva” in the sixth volume relates that the Lotus Sutra is the foremost among the Buddhist sutras. It further explicates that if one transcribes the sutra after hearing it or sponsors another person do it, he or she can accumulate merit, which is so infinite that cannot be fathomed even by the wisdom of the Buddha.

* In Korea, the version commonly circulated was the one (seven volumes and twenty-eight chapters) translated into Chinese by an Indian monk named Kumarajiva (344–413) during the later Qin period (384–417). The retrieved artifact is a transcription of the sixth among the seven volumes of the Kumarajiva version (Chinese translations). It contains the contents of the eighteenth to twenty-third chapters.
* “Ancient Accounts of Bhaiṣajyarāja Bodhisattva”: The twenty-third chapter of the Lotus Sutra, it expounds on the previous life of Bodhisattva Bhaisajyaraja, who made an offering by burning his body, and encourages Buddhist practitioners to devote themselves to the pursuit of their faith.

The returned sixth volume of the Lotus Sutra includes a front cover with four lotus flowers painted in gold set vertically inside a rectangle. Vine designs in silver fill the remaining space within the rectangle, and on top of the lotus flowers there is a cartouche (oblong frame) in which the title of the sutra is inscribed.

The illustration that visually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e Lotus Sutra is depicted over four pages. It consists of the most dramatic scenes from the sixth volume of the Lotus Sutra. In the right portion are Shakyamuni Buddha preaching on the Lotus Sutra and his gwonsok (subordinates). To the left of them is a scene from the twentieth chapter “Sadāparibhūta Bodhisattva.” In it, Sadāparibhūta Bodhisattva says “All of you will become a Buddha” even though angry people are throwing stones at him. Another scene from the twenty-third chapter illustrates Bhaiṣajyarāja Bodhisattva making an offering by sacrificing his body in a burning flame. The retrieved manuscript bears characteristics of Goryeo-era transcribed sutras from the late fourteenth century in that the preaching scene in the right section occupies a large portion of the picture plane and the entire composition is filled with line drawings.

* Gwonsok: Those who practice the Buddhist law while following the Buddhas and Bodhisattvas
* “Sadāparibhūta Bodhisattva”: The twentieth chapter of the Lotus Sutra, it presents exemplary Buddhist practices through the achievements of Sadāparibhūta Bodhisattva, who never looked down on the people he met despite his many difficulties and told them that they would become Buddhas.

The texts of the sutra are written across 108 pages in the format of six vertical lines per page with seventeen Chinese characters on each line. Borders are drawn in gold, and each character is transcribed in silver with care.

The volume 6 of the Lotus Sutra, which was revealed this time, hasexcellent religious and aesthetic values as a Buddhist cultural heritage, and is expected to be used for various research and exhibitions in the future as it is in good condition even after about 700 years have passed. The CHA and the OKCHF hope that the public viewing of this repatriated cultural heritage will offer an opportunity to appreciate the beauty of transcribed sutras from the Goryeo Dynasty and understand the wishes of people of the time imbedded within them. They plan to continue their robust efforts to locate and retrieve important Korean cultural heritage housed overseas through active administration and the expansion of on-site cooperative networks. The retrieval was undertaken using lottery funds.


사진 1. 묘법연화경 권제6.jpg

< 묘법연화경 권제6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제협력과 백현민 사무관(☎042-481-4734), 박지연 주무관(☎042-481-4738)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