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궁예의 첫 출가지, 영월 흥교사터에서 통일신라 절터 확인
등록일
2012-12-14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5046

- 12.17. 오후 1시, 영월 흥교사지 주변 유적 발굴 현장설명회 -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중부고고학연구소(소장 김무중)는 문화재청(청장 김  찬)의 허가를 받아 발굴 조사한 강원도 영월 흥교사터 주변 유적(비지정문화재)에 대한 현장설명회를 오는 17일 오후 1시 현장에서 개최한다.
 
  이번 조사는 수해, 도굴, 유물발견 등으로 훼손의 우려가 큰 매장문화재의 보호를 위해 문화재청이 긴급 발굴비를 지원하여 시행한 것이다.

 

  흥교사(興敎寺, 이전 사찰명 世達寺)는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의 문헌기록에서 보이는 궁예(弓裔, ?~918)의 초창기 세력 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곳으로 알려져 왔을 뿐 정식조사는 시행된 적이 없었다. 하지만 이번 발굴을 통해 사찰 관련 건물지 10여 동을 비롯하여 통일신라시대~고려시대의 기와 조각과 치미(?尾, 망새), 청자 조각 등 다량의 유물을 통해 그 실체를 확인하게 되었다.

 

  조사단은 유적, 중요유물의 출토로 당시의 사세(寺勢)를 파악할 수 있고, 조선시대 건물지도 확인되어 흥교사의 중창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흥교사는 통일신라 때부터 오랜 기간 영월지역의 중심사찰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곳으로 기록과 들어맞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 참고로, 세달사는 이광수의 소설〈꿈〉의  주인공 조신과 관계된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조사지역 전경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 + 상업용금지)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발굴제도과 이은석 학예연구관(☎042-481-4950), 장윤석 주무관(☎042-481-4951)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