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함안 성산산성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등록일
2009-10-27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2939

- 최대 목간(木簡)출토 유적 2009년 조사 성과 회의 및 공개 -


 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소장 강순형)는 오는 10월 28일(수) 오후 2시에 성산산성 14차 발굴조사 성과 자문회의 및 현장설명회를 실시한다.


  성산산성(사적 제67호)은 1991년부터 현재까지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가 학술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산성으로 현재 국내 1)목간(木簡) 출토량의 절반이 넘는 277점의 목간이 출토된 곳이다.


 올해의 조사에서는 목간 31점, 성벽의 붕괴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했던 외벽보강시설과 고대 동아시아 연약지반 토목공사 공법인 2)부엽공법(敷葉工法) 구간의 나무울타리시설을 추가로 발견했다.


  목간은 6세기 중엽 신라가 성산산성을 축조할 때 여러 지방에서 식량과 물품을 보냈는데 그때 곡식 화물에 붙은 하찰(荷札: 꼬리표)이었음이 확인되었다.

이번 조사에서도 「仇利伐(구리벌)」ㆍ「古?(고타)」ㆍ「及伐城(급벌성)」ㆍ「△△城」「△△村」등의 지명과 「稗石(패석)」ㆍ「稗(패)」ㆍ「稗麥(패맥)」과 같이 피와 보리 등의 곡물 명이 기록된 것이 대부분이다.

  한편, 네 면 모두에 글씨를 쓴 목간이 처음으로 출토되어 앞으로 보존처리를 거친후에 그 글씨와 내용을 명확하게 판독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와 함께 부엽공법의 구체적인 실체가 보다  명확히 확인되어 한ㆍ중ㆍ일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부엽공법 구간에서 목간과 토기, 철기 등의 인공유물뿐만 아니라 600여 점이 넘는 자연유물(동물뼈, 조가비, 씨앗, 잎, 나뭇가지 등)도 출토되어 1500년 전의 환경복원 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담당자 : 이은석, 이성준

연락처 : 055-285-1315



1) 종이가 발명되기 이전에 죽간(竹簡)과 함께 문자 기록을 위해 사용하던 목편(木片)


2) 제방이나 도로를 쌓기 위해 나뭇잎과 나뭇가지를 깔아서 기초를 만드는 고대의 토목공법





                                     2009년 출토목간과 적외선 사진  
                                                  부엽층 출토 동물뼈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