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경복궁 궁장(宮牆)의 전모(全貌)를 밝히다
등록일
2009-06-04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5183

- 서편 궁장지 발굴조사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는 경복궁 광화문 복원공사 현장 내  서쪽 궁장(宮牆, 궁궐 담장) 지역에 대한 발굴 조사를 2009년 3월부터 6월 현재까지 실시하여 2008년도 동편 궁장 발굴조사에 이어 경복궁 궁장의 웅장했던 전모를 밝혔다.


 이번 발굴조사는 ‘경복궁 광화문 및 기타권역 복원 사업’의 일환으로, 궁장의 정확한 위치와 규모, 형태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복원의 고증자료로 활용하고 나아가  조선 왕궁에 대한 기초 학술자료를 확보하고자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광화문부터 서십자각(西十字閣)까지 연결되는 궁장 기초 석렬과  그 아래에서 궁궐 배수로인 어구(御溝) 1기가 확인되었다. 궁장은 잔존 길이 180m, 너비 3.3m 내외, 잔존 높이 1.7m 이며, 궁장 축조 방법은 태조대 궁장   기초 위에 정연하게 다듬은 고종대 궁장 기초석을 덧대어 쌓은 방식으로 동편  궁장 축조 방법과 동일하다. 또한 궁장 마감돌 안팎으로는 궁장 지붕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받던 낙수받이돌이 확인됨에 따라 당시 궁궐 내·외부 구지표면을 밝히는 등 궁장 복원을 위한 정확한 고증자료를 확보하게 되었다.


  한편 궁궐 내부(북)에서 외부(남)를 향해 흐르도록 시설된 어구는 잔존 길이 15m, 폭 2.5m, 잔존 높이 1.2~2.5m로 궁장 내부 어구는 벽면과 바닥 모두 길게 다듬은 장대석으로 만들었는데 어구 벽면 위로 어구의 덮개돌이나 다리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2매의 장대석을 얹었다. 궁장 외부 어구는 벽면은 거칠게 다듬은 장방형 또는 부정형의 석재를 쌓고 바닥은 크고 넙적한 돌을 깔았다. 궁장 외부 어구 한가운데에는 다리의 받침돌(橋脚)로 추정되는 길이 120cm의 석재 1매가 확인되었다.
 

  이번 서편 궁장 발굴조사를 통해 2008년도 동편 궁장 발굴조사에 이어 경복궁 궁장의 웅장했던 전모가 드러나게 되어 경복궁 궁장 복원의 결정적인 고증 자료 제공하게 되었으며, 향후 경복궁 발굴조사 결과와 문헌 자료를 비교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복궁 서편 궁장지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ㅇ 일시 : 2009. 6. 4(목) 16:00~

 ㅇ 장소 : 경복궁 광화문 복원공사 현장 내 ‘경복궁 발굴조사 현장’

 ㅇ 문의 :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이상준 011-816-4136이인숙 010-3128-2040

          (경복궁발굴조사단 02-720-7068)
담당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연구실 이상준, 이인숙
전화번호 : 02-720-7068

그림 1. 경복궁전도(景福宮全圖, 임진왜란 소실 이전으로 추정) 

그림 2. 경복궁 동편 궁장 모습(동에서)
 
그림 3. 경복궁 서편 궁장 모습(서에서)  

  
그림 4. 궁장 축조 모습(남에서)

그림 5. 경복궁 어구 모습(동에서)

그림 6. 남편 어구 모습(남에서)

그림 7. 북편 어구 모습(북에서)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