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한국의 근대문화유산 16 ] 우리나라 의료 선교의 역사
등록일
2008-07-21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2105
-------------------------------------------------------------------------

★Quiz정답을 보내실때★

정답과 함께 *이름*연락처*주소*이메일 주소* 를 꼭~!꼭~!입력해 주세요~

다른 입력사항이 없으면 당첨이 안되요..ㅠㅠ

*Quiz정답은

① 글아래 [메일보내기]버튼을 클릭~!

② 뉴스레터 하단에 [한줄의견]버튼을 클릭~! 해주세요^^

③ 참고로 퀴즈담당자 메일주소는 [chquiz@ocp.go.kr]입니다.

*Quiz 마감일은 매주 금요일입니다.

*당첨자는 다음호(문화재발견_93)에서 발표합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0^

-------------------------------------------------------------------------



[center] 여수 애양교회



1.등록번호 : 제32호(2002년 5월 31일 등록)

2.소 유 자 : 대한예수교 장로회 애양교회

3.설계자 : 미상

4.건립연도 : 1926년

5.면적 : 건축면적/602㎡, 연면적/602㎡

6.위치 :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신풍리 1

7.현용도 : 종교시설

8.구조 : 석재 조적조(지상 1층)

9.참고문헌 : http://www.wlc.or.kr/

전남 근대문화유산 조사 및 목록화사업보고서, 전라남도, 2003.





여수 애양교회는 우리나라 의료 선교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 소중한 건물이다. 애양교회 건물이 신축된 것은 1926년 이지만, 그 연원은 19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909년 4월 목포에서 활동 중이던 포사이트(Willey H. Forsythe) 의료 선교사가 광주로 가던 중, 길가에 쓰러져 죽어가던 한센병 환자를 광주 제중원 벽돌 가마터에서 치료하게 된 것이 서양 의학에 의한 나환자 치료의 효시였다. 이것이 미국인 윌슨(Robert M. Wilson) 의료 선교사에 의해 1911년 4월 25일 당시 전라도 광주군 효천면 봉선리에 설립된 광주 나병원으로 계승되었고 1913년에는 최초로 나병원 교회가 설립되었다.



광주에서 번창하던 나병원과 교회는 1926년 여수시 율촌면 신풍리 일대로 옮겨오게 된다. 이때 현재의 애양교회 건물이 신축되었다. 또한 애양교회 맞은편에 현재 WLC(Wilson Leprosy Center) 역사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는 등록문화재 제33호인 애양병원도 같은 시기에 지어진 것이다. 애양병원은 당시에는 비어울프 나병원이라고 이름지어졌으나 1935년 3월 15일 애양원으로 개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애양병원 건물은 1999년 12월 역사관으로의 전용공사를 시작하여 2000년 6월 24일‘WLC역사박물관’을 개관하였다. 현재 역사관에는 의료기구와 사진자료 등을 전시하고 있어 당시의 의료 상황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다.



여수 공항과 남해의 광양만에 인접한 현재의 애양병원에서 동남쪽으로 약 500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애양교회와 그 주변에는 현재까지도 애양병원과 관련된 많은 근대건축물들이 남아 있다. 구 애양병원 건물을 비롯하여 1953년 신축되어 한성신학교로 사용되다가 현재 수양관으로 사용되는 토플하우스(Topple House)를 비롯한 다수의 근대건축물이 산재되어 건물군을 형성하고 있다.



여수 애양교회는 일제강점기에 지어졌지만 당시 일본인들에 의해 지어지던 많은 건축물과는 구별되는 석조 1층 건물로 선교사에 의해 지어졌다. 애양교회 뿐만 아니라 애양병원과 주변에 산재한 근대건축물들이 동일한 재료와 유사한 방식으로 지어져 동질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일반적인 교회 건축과 유사하게 끝이 뾰족해지는 첨두형 아치창을 둘렀고 정면 좌측으로 사각탑을 쌓고 그 위에 탑과 십자가를 올렸다. 지붕은 함석을 얹은 박공지붕으로 마감되었다.



애양교회는 잦은 증축과 개축으로 많은 부분이 변형되었으나 건물의 기본적인 골격과 개구부 등은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1935년에 예배당을 재건하였고, 1979년 개축시 경사로와 계단을 설치하였다. 1980년 이후 목조였던 보와 기둥을 철근콘크리트로 개조하였고 층고를 높이기 위해 벽면 상부에 석재를 4단 정도 더 쌓아 올렸다.



애양교회는 역사관으로 활용되고 있는 구 애양병원 건물과 함께 서양 선교사에 의해 건축된 건물로서 우리나라 의료 선교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중요한 역사적 자료로서 2002년 5월 31일 등록문화재 제32호로 등록·관리되고 있다.









-----------------------------------------------------------------------------------



* 우정디자인기획에서 발간한 [한국의 근대문화유산 Vol.1] 에서 발췌한 내용 입니다.

* 이글의 저작권은 문화재청에 있습니다.

* 사진과 글의 무단 전재나 복사를 금합니다.

* 문의_문화재청 대변인실 (042.481.4678)



-----------------------------------------------------------------------------------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