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한국의 근대문화유산 ⑨ ] 우리나라 종교건축 변화의 역사적 자료
등록일
2008-06-02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1413
-------------------------------------------------------------------------

★Quiz정답을 보내실때★

정답과 함께 *이름*연락처*주소*이메일 주소* 를 꼭~!꼭~!입력해 주세요~

다른 입력사항이 없으면 당첨이 안되요..ㅠㅠ

*Quiz정답은

① 글아래 [메일보내기]버튼을 클릭~!

② 뉴스레터 하단에 [한줄의견]버튼을 클릭~! 해주세요^^

③ 참고로 퀴즈담당자 메일주소는 [chquiz@ocp.go.kr]입니다.

*Quiz 마감일은 매주 금요일입니다.

*당첨자는 다음호(문화재발견_86)에서 발표합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0^

-------------------------------------------------------------------------



[center] 옥천 삼양리 옥천천주교회



1.등록번호 : 제7호(2002년 2월 28일 등록)

2.소유자 : 재단법인 청주교구 천주교회 유지재단

3.설계자 : 백(Ralph Deblanc, 미국인) 수사(修士)(추정)

4.건립연도 : 1955년 9월 8일

5.면적 : 건축면적/698㎡, 연면적/698㎡, 대지면적/14,948㎡

6.위치 :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삼양리 158-2

7.현용도 : 종교시설

8.구조 : 시멘트벽돌 조적조(지상1층)

9.참고문헌 : 옥천본당사 편찬위원회, 옥천본당사(上),

천주교 청주교구 옥천교회, 1991

천주교 청주교구청 사목국, 천주교 청주교구 연감, 천주교 청주교구청, 1995



옥천지역의 천주교 전래는 1883년경, 파리외방전교회 소속의 로베르(A.P. Robert, 金保祿) 신부가 옥천과 가까운 영동군 고자동(현, 상촌면 고자리)과 공수동(현, 양강면 지촌리)에 전교를 시작하면서부터이다. 1886년 로베르 신부가 경상도지역의 전교책임을 맡고 대구로 부임한 후, 1900년을 전후하여 감곡본당의 부이용(R. Camillus Bouillon, 任加彌) 신부에 의해 이 지역의 본격적인 전교활동이 진행되었다.



옥천천주교회는 1906년 5월 20일, 공주본당에서 분리되어 옥천읍 이문동(현, 문정리) 43번지에 본당을 설립하였고, 한국인 사제인 홍병철(洪秉喆) 루가 신부가 초대 신부로 부임하였다. 1909년 5월 30일에는 본당을 죽동(현, 죽향리) 154번지로 신축·이전하였다. 1914년 11월 12일에는 관할하던 비룡 및 대전 공소(公所)가 본당으로 승격되면서 공소로 격하되었다가 1928년에 본당으로 환원되었고, 1943년에 다시 공소가 되었으나 1948년 본당으로 환원되면서 같은 해 7월, 현 위치에 25.78평의 한식 목조 성당을 신축·이전하였다. 1953년 9월, 충북지방이 메리놀외방전교회의 전교지역이 되면서 옥천본당의 변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1955년 9월 8일, 현 성당건물이 신축되었는데, 지붕 상량문에 건축연대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다.



현재의 성당건물은 시멘트 벽돌을 사용한 조적조 1층 건물로 지붕은 왕대공형식이 변형된 목재 삼각형 지붕틀 구조를 하고 있다. 대지 남측면에 서남향으로 길게 놓여, 성당 우측면을 따라 급경사의 주 진입로를 시계방향으로 감아 올라오도록 되어 있는 이 건물은 길이 47.9m, 폭 28.8m(익랑 포함)의 장방형으로, 최고높이 21.5m(종탑십자가 포함), 지붕높이는 9.3m이다.



현관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좌우대칭형이나 신축 당시 조성된 측면 부출입구, 증축부의 출입구 및 창호, 그리고 내부 실의 구획 등에서 대칭구도가 일부 변형되어 있다. 전면에 3개의 박공형 지붕을 씌운 전실(narthex)을 두고, 중앙부에 3층 규모의 종탑을 배치하였으며, 내부는 10.8m의 비교적 넓은 폭을 기둥없이 예배공간으로 구성하고 각 칸(bay)마다 1∼2개의 긴 아치형 창 또는 출입구를 내었다. 증축부의 좌측은 유아실과 전시실, 우측은 고해성사실과 업무실, 후면부는 제의실과 성단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 성당건물은 건축 이후, 두 차례의 큰 변화과정을 겪었는데, 첫 번째는 12대 하 빈첸시오(Vincent Hoffman) 신부의 재임(1963.7.15∼1967.10.1)시로, 종탑부의 부식된 함석마감을 기와로 변경하면서 4면의 환기창과 십자가형 첨탑(尖塔, pinacle)이 철거되었고, 두 번째는 1991년도에 실시된 증축공사로 기존의 일자형 평면 좌우와 후면에 각각 익랑(翼廊, trancept)과 제대부(apse)를 추가하면서 긴 십자가형(latin cross)으로 평면이 바뀌었다.



설계자는 백(Ralph Deblanc) 수사로 추정되는데, 그는 대학에서 토목공학을 전공한 공학도로서 그가 청주교구에서 활동하던 기간(1945∼89)동안 옥천성당의 건축이 진행되었고, 신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성당건축과 관련하여 당시 주임신부였던 변 로이(Petipren Roy, 邊聖行) 신부가 백 수사에게 설계를 의뢰했었다고 증언하고 있어 그 신빙성을 더하고 있다.



지방에 남아있는 근대문화유산이라는 희소적 가치와 함께 한국전쟁이후 우리나라 종교건축 변화의 일면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역사적 자료로서 2002년 2월 28일, 등록문화재 제7호로 등록·관리되고 있다.



-----------------------------------------------------------------------------------



* 우정디자인기획에서 발간한 [한국의 근대문화유산 Vol.1] 에서 발췌한 내용 입니다.

* 이글의 저작권은 문화재청에 있습니다.

* 사진과 글의 무단 전재나 복사를 금합니다.

* 문의_문화재청 대변인실 (042.481.4678)



-----------------------------------------------------------------------------------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