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국가지정문화재(중요민속자료) 지정고시 및 지정예고
등록일
2007-10-10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5099
- 지정고시 : 송석헌, 송소고택, 신안김환기가옥, 강진영랑생가 - 지정예고 : 울릉 나리동 너와집 및 투막집, 울릉 나리동 투막집 문화재청(청장 유홍준)은 지난 9월 19일 문화재위원회(민속문화재분과)의 심의를 거쳐 ‘송석헌’과 ‘송소고택’, ‘신안 김환기가옥‘, ’강진영랑생가‘ 등의 지방지정문화재를 국가지정문화재인 중요민속자료로 지정고시 하였으며, 또한 ‘울릉 나리동 너와집 및 투막집’과 ‘울릉 나리동 투막집’에 대하여도 지방지정문화재에서 국가지정문화재인 중요민속자료로 각각 지정 예고키로 하였다. 송석헌은 사복시 정(司僕侍 正)으로 추증(追贈)된 동암(東巖) 권이번(權以番)선생이 아들 선암(仙巖) 권명신(權命申)에게 지어준 가옥이다. 선돌마을 입구에 배산하여 남동향으로 자리잡은 본 가옥은 경사지반을 이용하여 정침채를 세웠다. 특히 이 가옥은 조선후기 영남지방 사대부저택의 다양한 기능과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지형의 고저차를 잘 이용한 점, 중층누각과 사랑채 연결부, 무쇠솥 등 생활도구도 일부 보존됨은 물론, 아직도 장작을 마련하여 재래식 방법으로 아궁이에 불을 때고 있는 등 전통적 풍습을 잘 간직하고 있는 격조 높은 고택이다. 송소고택은 조선 영조 때 만석의 부를 누렸다는 심처대(沈處大)의 7대손 송소(松韶) 심호택(沈琥澤)이 1880년(고종 17) 파천면 지경리(호박골)에서 조상의 본거지인 덕천리로 이거하면서 건축한 가옥이다. ‘송소세장(松韶世莊)’이란 현판을 달고 9대간 만석부(萬石富)를 지낸 건물이다. 이 건물은 조선후기 대농의 부잣집으로서 건물의 용도에 따라 기둥 굵기와 높이를 달리하는 등 상당한 격식과 규모를 갖추었을 뿐만 아니라 각 건물마다 많은 수장 공간과 독립된 공간구성, 내외담의 설치 등은 조선말기 상류주택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신안 김환기가옥은 신안군 안좌면 읍동마을 깊숙한 곳에 자리하고 있으며, 건물은 좌측에 안채와 우측에 화실을 배치하였다. 안채는 20세기 초에 지은 건물로서 수화 김환기가 어린시절과 해방 후 작품활동을 하였던 곳으로 원형이 잘 간직되고 있다. 우측의 화실은 수화가 주로 방학을 이용하여 서울에서 내려와 작업을 하였던 곳이다. 이 가옥은 작가의 위치와 업적을 한국근현대 미술사의 관점에서 볼 때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갖는 점과 전통성은 사라지고 편리성을 중시한 생활공간으로 변용되어 근대초기에 나타난 실증적 자료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강진 영랑생가는 시인 영랑 김윤식이 태어난 곳으로 전형적인 부농가집의 생활공간이다. 기능적인 특징과 더불어 배산과 조망이 함께 어우러진 공간적 정서가 체감되는 곳으로서 영랑의 문학적 세계를 후손에게 길이 체감할 수 있는 공간으로 그 가치가 중요하다. 강진 영랑생가는 현대문학사에 있어서 큰 자취를 남긴 영랑 김윤식의 생가라는 역사문화적인 가치와 함께 20세기 초반 전통한옥과 근대 건축물의 과도기 가옥으로서 문화변용의 한 형태를 볼 수 있는 귀중한 장소이다. 울릉 나리동 너와집 및 투막집, 울릉 나리동 투막집은 울릉도 특유의 주택형태를 간직하고 있으며 울릉도 개척당시 주거구조와 양식을 잘 나타내고 있는 등 우리나라에 몇 안 남아 있는 귀중한 민가이다. 특히 지붕처마 끝을 따라 기둥을 세워 집주위에 벽을 치는 우데기 구조와 내부벽체와 우데기 사이 공간인 축담은 추운지방인 울릉도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구조이다. 위와 같이 조선후기의 상류주택과 부농주택, 역사문화인물 유적지 연구에 중요한 자료인 송석헌, 승소고택, 신안 김환기가옥, 강진영랑생가를 국가지정문화재(중요민속자료)로 지정 고시키로 한 것이며, 또한 울릉도 개척당시 주거구조와 양식을 잘 나타내고 있는 울릉 나리동 너와집 및 투막집과 울릉 나리동 투막집에 대하여도 국가지정문화재(중요민속자료)로 각각 지정 예고키로 하였다. 지정예고 기간은 관보에 공고되는 날로부터 30일간으로 예고된 내용에 관한 이해관계자(소유자 및 관리자, 관할지방자치단체 등)의견을 수렴 문화재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국가지정문화재인 중요민속자료로 지정할 예정이다. [SET_FILE]1[/SET_FILE] [SET_FILE]2[/SET_FILE]
송소고택
<송소고택>


신안 김환기 가옥
<신안 김환기 가옥>


송석헌
<송석헌>
담당자 : 근대문화재과 이승환, 정석 전화번호 : 042-481-4881, 4890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