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중원역사문화권 대표 국가유산, 충주 장미산성 발굴조사 성과 공개
등록일
2024-05-21
주관부서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중원문화유산연구소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443

성벽 변천 과정(토축→석축)과 풍납토성과 유사한 다량의 백제 토기, 집수시설도 발견… 성과 공개회(5.22.)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중원문화유산연구소(소장 조상순)는 국가유산청 출범(5.17.)을 계기로, 오는 5월 22일 오전 10시 30분(학술간담회)과 오후 2시(공개 간담회) 총 2회에 걸쳐 충주 장미산성 발굴조사 현장에서 그간의 조사 성과와 출토 유물을 공개한다.
* 발굴조사 현장: 충북 충주시 중앙탑면 장천리 산 73-2번지

한강을 따라 충주 분지로 진입하는 길목에 위치한 장미산성은 삼국이 치열하게 다투었던 중원 역사문화권의 대표적인 산성으로, 성의 축조 주체와 시기, 성 내부 생활공간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국립중원문화유산연구소는 충주시(시장 조길형)와 함께 장미산성을 이루는 성벽의 구조, 내부 시설물의 조성과 활용, 산성의 시기적 변천 과정을 밝혀내고, 보존·활용 방안을 마련하고자 2022년 10월부터 연차적인 발굴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현재까지 장미산성 북벽 중앙부의 성벽 구조와 축조기법, 내부 시설의 배치 양상 등을 새롭게 확인하였으며, 성을 처음 쌓았던 세력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다량의 백제 토기가 출토되는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북성벽 중앙부는 처음에 흙을 켜켜이 치밀하게 다져 쌓은 성벽(최대 너비 11m, 높이 5m 내외)으로 만들어졌다. 이후 성벽은 돌로 쌓는 방식으로 변화되었는데, 석축성벽은 먼저 만들어진 토축성벽의 바깥면을 일부 절단하고 안쪽과 바깥쪽 모두 돌로 쌓아 조성하였다. 이 석축성벽의 규모는 너비 7m, 높이 3m 이상으로 추정된다.
또한, 성벽 안쪽에서는 흙으로 쌓은 성벽과 같은 시기에 사용한 부뚜막 등 취사 관련 시설이 확인되었다. 취사 관련 시설 주변에서는 항아리, 시루, 삼족기, 고배 등 5세기 전반에 해당하는 삼국시대 백제 토기가 집중적으로 출토되었다. 출토된 토기는 장미산성의 운영 시점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백제 도성이었던 서울 풍납토성의 토기와 특징이 비슷하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이와 함께, 산성의 운영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인 물을 모아두는 집수시설도 일부 확인되었다.
* 삼족기(三足器) : 납작한 몸체에 다리가 세 개 달린 토기
* 고배(高杯) : 접시 또는 사발에 다양한 형태의 긴 굽을 붙인 토기

이번 발굴조사로 기존에 돌로 쌓은 석성으로 알려져 있던 장미산성이 처음에는 토성으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고, 이를 쌓았던 세력이 삼국시대 백제와 밀접하게 관련되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향후 일부 확인된 집수시설 등에 대한 추가 발굴조사를 통해, 산성의 운영과 생활상을 상세하게 규명하고, 나아가 성벽과 성내 시설의 구조를 명확히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발굴조사 성과 공개회에서 직접 확인해볼 수 있으며, 누구나 별도 신청 없이 참여할 수 있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중원문화유산연구소는 중원 역사문화권의 중추적 연구기관으로서, 앞으로도 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연구와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그 성과를 지속적으로 국민과 함께 공유하여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를 널리 알려 나갈 계획이다.



충주 장미산성과 한강 원경

< 충주 장미산성과 한강 원경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립중원문화유산연구소 이솔언 학예연구사(☎043-850-7812), 최관호 특별연구원(☎043-850-7883)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