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한국의 근대문화유산 60] 열차의 역사와 함께 한 건축물
등록일
2009-06-23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1077
-------------------------------------------------------------------------
★Quiz정답을 보내실때★
정답과 함께 *이름*연락처*주소*이메일 주소* 를 꼭~!꼭~!입력해 주세요~
다른 입력사항이 없으면 당첨이 안돼요..ㅠㅠ
*Quiz정답은
① 뉴스레터의 [회신] 기능 이용하기~!
② 뉴스레터 하단에 [한줄의견]버튼을 클릭~! 해주세요^^
③ 참고로 퀴즈담당자 메일주소는 [chquiz@ocp.go.kr]입니다.
*Quiz 마감일은 매주 금요일입니다.
*당첨자는 다음호(문화재발견_137)에서 발표합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0^
-------------------------------------------------------------------------

                               ◆ 연산역 급수탑 ◆


 


1.등록번호 : 제48호(2003년 1월 28일 등록)
2.소 유 자 : 한국철도공사
3.설계자 : 미상
4.건립연도 : 1911년 12월 30일
5.면적 : 건축면적/16㎡, 연면적/16㎡, 대지면적/36,837㎡
6.위치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청동리 127-74
7.현용도 : 급수탑(미사용)
8.구조 : 석재 조적조(지상 1층, 높이/16.2m, 폭/5.28m)
9.참고문헌 : 철도청 공보담당관실, 한국철도요람집, 철도청, 1993


연산면 청동리 127-74번지의 연산역 내에 위치한 이 급수탑은 1911년, 대전∼연산간 호남선의 개통과 함께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같은 해 12월 30일에 설치, 1970년대까지 약 60여 년간 사용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전국적으로 철도가 부설되면서, 당시 주요 역마다 기관차 급수시설을 설치하였는데, 충남에는 서대전과 강경역에 급수탑이 있었으나 약 30년 전에 철거되고, 현재는 이곳이 유일하다.



전체높이는 16.2m, 지면부의 바깥지름은 5.28m이며, 최상단부 철제 물탱크의 바깥지름이 4.1m인 총용량 30t규모의 원기둥형 급수탑으로 전체 높이의 2/3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하단은 거친 마감의 화강석을 사용하여 축조하고, 상단에는 철제 물탱크를 올려놓은 형태이다.

상단부의 급수탱크에는 외부에 철제사다리를 설치하여 최상단 강판 지붕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하고, 하단부의 경우, 출입구와 창을 두어 내부로의 진입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있으며, 출입구의 상부를 아치로 마감하고, 키스톤(key stone)을 둠으로써 조형감을 더해주고 있다.



열차의 발전과 함께 기능을 상실한 채 남아있던 이 급수탑은 근대 산업시설물로 남아있는 급수탑 가운데 연대가 가장 오래되었다는 역사성과 희소한 조형적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 2003년 1월 28일, 등록문화재 제48호로 등록·관리되고 있다.


-----------------------------------------------------------------------------------

* 우정디자인기획에서 발간한 [한국의 근대문화유산 Vol.2] 에서 발췌한 내용 입니다.
* 이글의 저작권은 문화재청에 있습니다.
* 사진과 글의 무단 전재나 복사를 금합니다.
* 문의_문화재청 대변인실 (042.481.4677)

-----------------------------------------------------------------------------------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