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신라 호국의 염원, 사천왕사
등록일
2008-12-10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3871

- 경주 사천왕사지 학술심포지엄 개최 -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지병목)는 12월 11일(목) 10:00부터 경주 보문단지에 위치한 드림센터에서 <신라 호국의 염원, 사천왕사>라는 주제로 관련 연구자와 시민을 초청하여 “방치된 신라 옛 사찰 조사사업”의 일환으로 발굴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통일신라의 대표적인 호국사찰 경주 사천왕사지(四天王寺址, 사적 제8호)에 대한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에 열리는 사천왕사 학술심포지엄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신라문화의 정체성 파악 및 체계적인 연구를 위하여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신라문화권 학술조사연구사업의 하나로 2006년부터 4개년 계획으로 발굴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 학술심포지엄에서 논의된 여러 사항들은 향후 사천왕사지의 조사와 정비사업에 적극 반영될 예정이다. 경주 사천왕사는 통일신라 초기인 문무왕 19년(679년)에 창건된 사찰로서 국내의 고대 사찰 가운데에서 쌍탑식(雙塔式) 가람배치를 처음으로 이룬 곳으로 2기의 목탑이 배치되었으며 이후 통일신라 사찰가람의 전형을 이룬 곳이다. 특히 불교건축사에 있어서 이보다 다소 늦은 신문왕 2년(682년)에 창건된 감은사 동ㆍ서 삼층석탑과 함께 당시의 건축과 미술은 물론이고, 불교문화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어 통일신라시대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빠트릴 수 없는 중요한 유적으로 알려져 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서 개최하는 이번 학술심포지엄은 이러한 통일신라문화에 대한 궁금증의 실마리를 찾기 위한 공개 토론장으로서, 지금까지 진행된 사천왕사지의 조사와 연구성과를 정리하고 향후 유적 조사 및 활용의 방향을 학계와 관할 행정부서, 그리고 지역 시민단체가 함께 고민해 보고자 마련된 자리이다. 학술심포지엄은 모두 2부로 나누어 진행되는데, 제1부에서는 조유전 토지박물관장의 기조강연 후, 경주 사천왕사지를 비롯하여 중국과 일본의 7~8세기 대 사찰관련 유적에 대한 발굴조사 보고가 이어진다. 제2부에서는 고고학, 건축사, 불교미술사, 고대사 관련연구자들이 지금까지 사천왕사지의 연구내용과 발굴성과에 대한 각 분야별 의견을 검토하고 심도 있는 토론을 진행한다. 특히, 2부의 토론에서는 경주 사천왕사지 가람에 대한 고고학적인 검토와 통일신라 사찰의 변화, 사천왕사지 금당의 구조와 가람 조영에 따른 건축학적 분석, 출토 녹유전과 유물에 대한 불교미술사적 해석, 밀교의 유행과 신라불교의 변화로 보는 통일신라의 정치와 사회상, 향후 사천왕사지의 보존과 활용방안 등에 대한 각 분야별 의미 있는 토론이 진행되어 경주 사천왕사지에 대한 위상과 모습이 그려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서는 이번 학술심포지엄에서 논의된 각계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사천왕사지의 조사와 연구ㆍ활용에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관계기관과 협의하여 경주 사천왕사가 통일신라를 대표적인 사찰가람으로 훌륭한 모습을 찾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한편, 이번 학술심포지엄과 함께 경주 사천왕사지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문화재 애호의식 고취를 위하여 최근에 발굴된 사천왕사지 동ㆍ서 목탑지 출토 녹유전(綠釉塼)을 관계분야의 연구자는 물론이고 일반 시민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술심포지엄> ㅇ 주 제 : <신라 호국의 염원, 사천왕사> ㅇ 일 시 : 2008. 12. 11(목) 10:00 ~ 18:00 ㅇ 장 소 : 경주 보문단지내 드림센터(대회의장) <사천왕사지 출토 녹유전 공개> ㅇ 일 시 : 2008. 12. 10(월) ~ 2009. 1. 3(토) ㅇ 장 소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출토유물보관동(경주시 마동 931) 담당자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이주헌, 최장미 전화번호 : 054-777-8800
사천왕사 학술심포지엄 안내 포스터
<사천왕사 학술심포지엄 안내 포스터>


녹유전 A상
<녹유전 A상>


녹유전 A상
<녹유전 A상>


녹유전 C상
<녹유전 C상>


녹유전 C상
<녹유전 C상>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