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트위터 페이스북
제목
훈민정음 반포의 생생한 역사 보물
작성일
2023-09-26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210

훈민정음 반포의 생생한 역사 보물 「나신걸 한글편지」「나신걸 한글편지」는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한글편지이자 훈민정음 반포의 실상을 알려주는 중요한 보물이다. 조선 초기 군관(軍官) 나신걸이 아내 신창맹씨(新昌孟氏)에게 한글로 써서 보낸 편지가 2장으로 구성되었으며, 2011년 대전시 유성구 금고동에 있던 조선시대 신창맹씨 묘에서 발견되었다. 00.나신걸 한글편지1 01.나신걸 한글편지2

군관이 아내에게 써서 보낸 한글편지

나신걸(羅臣傑, 1461~1524)은 조상 대대로 무관직(武官職)을 지낸 집안 출신으로, 편지를 썼을 당시 함경도에서 하급 군관으로 근무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의 부인 신창맹씨의 묘에서 출토된 유물은 저고리, 바지 등 의복 28점, 한글편지를 포함해 13점의 유물 등 총 41점에 달한다. 이 중 한글편지는 피장자의 머리맡에서 여러 번 접힌 상태로 발견되었다.


제작 시기는 편지의 내용 중 1470~1498년에 쓰인 함경도의 옛 지명인 ‘영안도(永安道)’라는 말이 보이는 점, 나신걸이 함경도에서 군관 생활을 한 시기가 1490년대라는 점을 통해 이때 작성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편지는 아래와 위, 좌우에 걸쳐 빼곡히 채워 썼으며, 내용은 모친과 자녀들에 대한 그리움, 철릭[天翼, 조선시대 무관이 입던 공복(公服)] 등 필요한 의복을 보내주고, 농사일을 잘 챙기며 소소한 가정사를 살펴봐 달라는 당부가 주를 이룬다.


한글이 조선 백성들에게 널리 쓰였다는 증거

「나신걸 한글편지」가 1490년대에 쓰였음을 감안하면 1446년 훈민정음이 반포된 지 불과 45년이 지난 시점에서 한양에서 멀리 떨어진 변방지역과 하급 관리에게까지 한글이 널리 보급되었음을 말해 준다. 특히 조선시대 한글이 여성 중심의 글이었다고 인식된 것과 달리, 하급 무관 나신걸이 유려하고 막힘 없이 쓴 것을 통해 남성들 역시 한글을 익숙하게 사용했음을 보여준다. 관청에서 간행된 문헌으로는 한글이 대중에게 어느 정도까지 보급되었는지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지만, 이 편지가 발견됨으로써 한글이 조선 백성들에게 깊숙이 알려져 실생활에 널리 쓰인 사실을 확인한 계기가 되었다.


「나신걸 한글편지」는 현재까지 발견된 한글편지 가운데 가장 오래된 자료이자 상대방에 대한 호칭, 높임말 사용 등 15세기 언어생활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앞으로 조선 초기 백성들의 삶과 가정 경영의 실태, 농경문화, 여성들의 생활, 문관 복식, 국어사 연구를 하는 데 있어 활발하게 활용될 가치가 충분하며, 무엇보다도 훈민정음 반포의 실상을 알려주는 언어학적 사료로서 학술적·역사적 의의가 매우 크다고 평가된다.




글,사진. 정제규(문화재청 상근전문위원)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