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문화재 기고

제목
문화재의 뒤안길(108)-냉장고 (서울경제, '21.9.27)
작성자
강석훈
게재일
2021-09-27
주관부서
대변인실
조회수
1816

문화재의 뒤안길(108) (서울경제, '21.9.27) 


냉장고, ‘식(食)’ 무형유산의 보고(寶庫)


장동대와 부엌 역할 압축한 냉장고, 세대를 넘어 전통 음식문화 이어줘
     
글/ 국립무형유산원 조사연구기록과 강석훈 학예연구사
     
등록문화재 금성 냉장고 gr-120.jpg

등록문화재가 된 1965년산 금성사 냉장고 'GR-120'



1965년, 금성사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냉장고를 만들었다. 120L 저장용량의 냉동실과 냉장실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제품이었다. 

이로부터 48년 후, 이 냉장고는 대한민국의 산업유산으로서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되었다.
냉장고가 처음 출시했을 때만 해도 가전제품으로서 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웠다. 

우리나라 전력 보급 상태가 좋지 않았고, 대다수 농촌사회에서는 냉장고 없이도 전통 식생활을 꾸리는 데 무리가 없었다. 

혹여 집안에 냉장고를 들이면 특정한 용도를 두고 쓰기보다 귀한 부의 상징으로 여겨 눈에 잘 띄는 대청마루나 안방에 두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냉장고는 산업화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한 1980년대부터 그 쓰임새가 활발해졌다. 

밀집된 도심 주택에서 옹기들을 두고 살 수 없으니 김치와 각종 장류, 젓갈 등 수많은 전통 발효음식이 냉장실 속으로 들어갔다. 

한국의 냉장고는 서서히 전통 부엌과 장독대의 기능이 압축되어 들어가면서 이른바 음식살림의 저장고로 자리매김하였다. 
금성사는1984년 세계 최초로 김치냉장고를 출시하였다. 

한국인의 밥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김치의 위상을 확인시켜주는 가전제품사의 한 획이었다. 
1990년대, 본격적인 아파트 시대에 접어들며 땅에 독을 묻는 김장문화가 점차 줄고 이를 대체할 김치냉장고의 구입이 급증하였다. 

냉장고 하나로 김치뿐만 아니라 된장, 고추장 그리고 막걸리까지 적정 온도에 숙성ㆍ보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김치 담그기’, ‘장 담그기’, ‘막걸리 빚기’가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기까지 우리의 냉장고는 반세기 동안 전승의 매개물로 그 몫을 톡톡히 해주었다. 
온 가족이 모이는 명절이 되면 냉장고 문은 바빠진다. 차례를 마치고 돌아가는 식구들의 손에는 차례음식이 가득 들려있다. 
우리는 집안 냉장고에 두둑하게 넣어두고 반찬거리 시름을 잠시 잊는다. 

김장 시즌이 되면 먼 고향에서 김치가 한 아름 배송되어 한 동안 김치로 만든 음식 파티를 벌인다.  그렇게 냉장고는 세대의 세대를 거쳐 전통 음식의 맛을 꾸준히 이어주고 있다. 오늘날 냉장고는 장독대와도 같은 ‘식(食)’ 무형유산의 보고(寶庫)이다.




첨부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