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트위터 페이스북
제목
세월이 빚어낸 맛 - 막걸리
작성일
2020-07-30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2371

세월이 빚어낸 맛 - 막걸리 막 거른 술이라 하여 막걸리, 빛깔이 희다고 하여 백주, 집마다 담그는 술이라 하여 가주, 그 이름도 다양한 막걸리. 특히 농가에서 필수적인 술이라 하여 농주 등으로 부르기도 했다. 『삼국사기』의 기록에도 막걸리나 단술을 가리키는 말이 나오고, 고려시대 문헌에도 탁주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는 것을 보면, 그 ‘맛’은 깊을 수밖에 없다.

대표적인 한반도의 발효주

술은 두 종류이다. 하나는 발효주(醱酵酒)이고 다른 하나는 증류주(蒸溜酒)이다. 발효주는 곡물이나 과일 등이 효모와 뒤섞여 발효 작용을 일으켜 생긴 술이다. 자연 상태에서도 얻을 수 있고, 한편으로는 인위적으로 곡물, 과일로 발효 작용을 일으켜 얻기도 한다. 증류주는 발효된 술을 증류 시켜 얻는다. 증류는 자연 상태에서 생기지 않는다. 반드시 인위적인 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발효주는 대체로 알코올 도수 18~19도 이하다. 더 높은알코올 도수를 원하면 증류의 방식을 통해야 한다. 위스키나 중국 고량주, 보드카, 우리 전통 소주가 모두 증류주다.


막걸리는 대표적인 발효주다. 도수는 대략 18도 이하이다. 우리나라 막걸리의 경우, 물 등으로 희석하여 6도 전후의 술로 내놓는다. 막걸리의 역사는 깊다. 곡물, 과일 등을 발효시켜 얻는 ‘막걸리’에 관한 기록은 오래됐다. 다음은 『조선왕조실록』 세종 15년(1433년) 10월의 기록이다. 제목은 “술에 대한 폐해와 훈계를 담은 내용의 글을 주자소에서 인쇄하여 반포하게 하다”이다.


후위(後魏)의 하후사(夏候史)는 성질이 술을 좋아하여 상중(喪中)에 있으면서도 슬퍼하지 아니하며 좋은 막걸리[醇]를 입에서 떼지 않으니, 아우와 누이는 굶주림과 추위를 면치 못하였는데, 마침내 술에 취한 채 혼수상태[昏]로 죽었다.


세종 15년이면 조선 건국 초기다. 건국 초기는 재정의 중요성이 더 크다. 나라의 기본은 곡식이다. 먹고살아야 한다. 술은 반대이다. 귀중한 곡물로 빚으니 곡물 허비가 심하다. “술을 마시지 말라”라는 훈계의 내용을 담은 것이다. 중국 후위의 하후사는 상중임에도 술을 즐기다가 결국 술로 죽었다는 내용이다.


중국이나 우리나라 모두 막걸리는 ‘료()’로 불렀다. 좋은 술, 좋은 막걸리는 ‘순료(醇)’로 불렀다. 우리 막걸리의 특질은 ‘다양함’과 ‘불확실성’이다. 좋은 막걸리, 술을 순료로 부르면서, 한편으로는 험한 술, 술기운이 약한 것도 멀리하지 않았다. 이 술이 더 좋다, 나쁘다고 가르지 않고 ‘다르다’고 여겼다.


조선 중기의 문필가 석봉 한호(1543~1605년)는 흔히 ‘한석봉’으로 부르는 명필이다. 그는 순료가 아닌 엷은 술, 박주(薄酒)를 이야기한다.


짚방석 내지 마라. 낙엽엔들 못 앉으랴.

솔 불 혀지 마라. 어제 진달 돋아 온다.

아희야, 박주산채(薄酒山菜)일망정 없다 말고 내어라.


01.최근에는 다양한 테마를 지닌 막걸리가 만들어져 젊은 세대에게도 인기를 끌고 있다.   02. 국가등록문화재 제762-2호 영덕 영해양조장 및 사택. 오래된 앨범의 한 장면처럼 세월 묻어난 술독들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문화재청

개방성, 다양성의 매력 지닌 술

막걸리를 만드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누룩(효모)을 미지근한 물에 풀어서 고두밥과 섞는다. 수분을 적당히 더한 다음, 옹기 등에 담아둔다. 적절한 온도에서,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술이 괴기 시작한다. 뽀글뽀글 술이 숨을 쉰다. 발효 과정에서 생기는 이산화탄소 거품이다.


‘술을 짜는’ 과정은 남아 있는 고형분과 액체 술을 가르는 과정이다. 걸러낸 액체가 바로 술, 막걸리다. 남은 고형 성분은 술지게미다.


막걸리는 막 걸러서 먹는 술, 정제하지 않은 술이라는 뜻이다. 걸러낸 후, 다시 한 번 증류하면 증류주, 소주(燒酒)가 된다. 소주는 극도로 귀한 술이어서 일반 세민(細民)으로서는 만나기 힘들었다.


막걸리는 불확실하다. 같은 날, 같은 사람이, 같은 재료, 같은 방식으로 담근 술도 독마다 술맛이 다르다. 이전에 담갔던 술과 오늘 담근 술의 맛, 색깔 등이 다른 경우도 흔하다. 집집이 막걸리 맛이 다른 것도 당연하다. 이런 부분이 바로 막걸리의 열려 있는 불확실성, 개방성이다.


03. 압맥기(좌)는 보리를 납작하게 만드는 도구이며 용수(우)는 싸리나 대쪽으로 결어 만드는 도구로, 간장이나 술을 거를 때 사용했다. 04.막걸리에 필요한 재료는 고두밥용 쌀과 누룩, 물이다. 특히 쌀은 여름철 8시간, 겨울철 10시간 정도 불려 수분이 충분히 스며들게 하고, 쪄낸 뒤 잘 펴서 식혀야 한다.

일정 기간 숙성시키면 막걸리 맛은 정제되고 순화된다. 이른바 제대로 익힌 술이다. 물을 섞지 않으면 무회주(無灰酒), 순료(醇)이다. 물을 섞으면 박주, 엷은 술이 된다. 우리 선조들이 ‘순료’만 좋아했던 것은 아니다. 순료가 좋기는 하지만, 박주나 험한 술이라고 해서 낮춰 보지 않았다.


‘산료(山)’는 산골에서 막 담근, 험한 술이다. 앞서 “아이야 박주산채(薄酒山菜)일망정 없다 말고 내어라”라고 하는 바로 그 ‘박주’다. 산촌에서 산채와 더불어 마셨으니 산촌의 막걸리, 산료다. 조선시대 문신 조임도(1585~1664)도 『간송집』의 시에서 ‘산료’를 이야기한다.


세상 사람들은 (무릉)도원이 좋다지만

세상사 잊을 만한 도원은 만나지 못했네

산촌 막걸리에 취해 세상사 잊을 수만 있다면

사람 사는 곳 어딘들 도원이 아니랴?


산촌에서 막 빚은 거친 막걸리를 마셔도 세상사 잊을 수만 있다면 사람 사는 곳이 모두 무릉도원이다.


산료의 또 다른 이름은 촌료다. ‘촌료’는 시골에서 담근 술이다. 계곡 장유(1588~1638)는 『계곡선생집 제25권_오언고시』에서 “시골 막걸리[村] 시금털털하긴 해도/그 속에 묘한 맛 들어 있나니”라고 했다. 시골 막걸리는 시금털털하고 정교하지 않지만, 그 속에 묘한 맛이 있다.


농암 김창협(1651~1708)의 시 “이별을 앞두고 즉흥으로 짓다”는 시골 막걸리[村]의 아름다움을 잘 보여 준다.


시골 막걸리 사 오니 병마개는 풀 뭉치해 저문 청산에서 이별 술을 따르네

그대도 봄 강 경치 좋아함을 알겠으니

미수(渼水)가 정자에서 다시 만나세


우리 선조들은 순료, 박주, 촌료, 산료를 가리지 않았다. 이름만 다를 뿐 모두 ‘막걸리’였다. 담글 때마다 달라지는 술, 물을 섞어도, 섞지 않아도 모두 마실 만한 술, 막걸리의 매력이다.


또 하나의 문화재‘양조장’ 이야기 전통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술은
농사일을 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것이었다. 처음에는 대부분이 자가소비를 목적으로 술을 제조했는데, 근대로 넘어오면서 주세법이 만들어지고 양조장 등을 국가가 관리하게 되었다. 현재 남은 양조장 중에는 그 문화적, 건축적 가치를 인정받아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곳도 있다. 

국가등록문화재 제762-2호 영덕 영해양조장 및 사택 : 막걸리 생산시설과 이를 위한 준비공정(도정장 등) 및 관리시설, 관리자의 거주 영역 등이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생산에서 판매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과 이 지역 양조 시설의 특성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또한, 한옥과 근대기 조적조 건물이 혼합되어 있는 등 당시의 시대상과 함께 변화상을 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다. 

국가등록문화재 제706호 문경 가은양조장 : 과거 탄광산업으로 번성하였던 문경시 가은읍의 대표적인 근대 유산으로, 사무실 건물이 독특하게 2층으로 구성되고 양조장 부분이 근대양조장의 생산과정과 기능을 건축적으로 잘 반영하고 있다. 

국가등록문화재 제594호 양평 지평양조장 : 지평양조장은 현재 3대에 걸쳐 가업을 이어 전통 제조 기술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통주를 제조하고 있는 건물로 환기를 위해 높은 창을 두고, 보온을 위해 벽체와 천장에 왕겨를 채웠으며, 서까래 위에 산자 대신 대자리 형식으로 짠 것, 외벽의 일부에 흙벽돌을 사용한 것이 특징적이다. 일제강점기 한식 목구조를 바탕으로 일식 목구조를 접합하여 대공간을 구성한 절충식 구조로 당시 탁주 생산 공장으로서 기능적 특성을 건축적으로 잘 보여 주고 있다. 

국가등록문화재 제58호 진천 덕산양조장 : 이 건물은 양조장의 전형을 알 수 있는 단층의 합각 함석지붕 목조건축물로, 지붕 목조트러스 가운데 목 부재에 쓰인 기록을 통해 1930년 목수 성조운(成造運)이 건립하였음을 알 수 있다. 양조장의 환기를 위해 높은 창을 두고 보온을 위해 벽체와 천장에 왕겨를 채웠으며, 외부 마감은 목재 널판을 사용하는 등 목조 건축물로서 독특한 형식을 갖추고 있다.


글, 사진. 황광해(칼럼니스트, 음식평론가)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