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좌측메뉴

제목
1892년(임진년) 고종대진찬의 재현
등록일
2005-10-26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14997




문화재청(청장 유홍준)이 주최하고,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이사장 이동식)이 주관하는「고종시대 진찬의 재현」행사가 10월29일과 30일 오후2시 이틀동안 경복궁 근정전에 열린다. 이번 행사는 조선 제26대 고종 즉위30주년과 41세(望五) 생신을 기념해 열렸던 1892년(임진년) 진찬연을 재현하는 것으로, 문무백관의 진하의(송축), 국왕께 술과 음식을 올리는 진작의 및 진찬의, 축하공연인 궁중정재무용 등 약 2시간 동안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에 재현되는 진찬의는 임진진찬의궤(壬辰進饌儀軌), 고종실록, 기타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등을 근거로 국왕 왕세자 등 320명의 출연진으로 재구성하였으며, 의례자체는 물론 궁중복식, 궁중무용, 왕실의장물, 궁중음식 등 조선후기 문화를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종합적인 의례여서 문화유산 보존 측면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 특히 조선후기 무동복(舞童服)을 고증해 처음으로 재현했으며, 궁중정재무인 만수무(萬壽舞)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도 고증을 거쳐 가인전목단, 포구락, 무고 등 기존 궁중무용과 함께 재현될 예정이다.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은 이번 재현행사에 대한 국민들의 참여를 높이고 함께하는 행사로 만들기 위해 국왕과 왕세자 등의 역할을 맡을 출연자 전원을 공모해 선발했다. 또 의례시에 국왕께 진찬된 「각색경증병(떡)」을 관람객들이 시식할 수 있도록 준비했으며, 조선시대 진찬연 관련 궁중기록화 사진도 26일부터 11월2일까지 경복궁에서 전시된다. 진찬의는 조선시대 국왕의 즉위나 대비의 생신 등 국가에 경사가 있들 때마다 궁중에서 베푸는 잔치로 진풍정(進豊呈), 진연(進宴), 진찬(進饌) 진작(進爵), 수작(授爵) 등 규모와 시기 종류에 있어서 약간씩 의미를 달리하며 궁중의례 중심을 형성하고 있다. 성리학을 통치의 이념으로 했던 조선은 국가통치의 원리인 오례, 즉 가례(嘉禮),길례(吉禮), 빈례(賓禮), 군례(軍禮), 흉례(凶禮)에 바탕을 두고 이를 실천하는 방식으로 국가경영이 이루어 졌다. 진찬연도 이러한 통치행위의 연장선에서 이뤄졌으며, 현존기록을 토대로 조선시대에는 인조 8년인 1630년 풍정도감의궤에서 순종대까지 지속적으로 거행되었다. 특히 정조대의 효를 근본으로 한 원행을묘정리의궤 기록은 이후 조선후기 궁중연향의 규범이 되기도 했다. 이번에 재현되는 1892년 고종대 진찬의는 고종 탄신일인 7월25일에 거행되는 것이 정상이나 신정왕후가 1890년(고종27년) 4월에 승하하여 1892년 6월에 신주를 종묘에 부묘(祔廟)하였으며 9월24일부터 9월26일까지 3일간 5가지 행사로 진행됐다. 첫 째 날인 9월24일 묘시에(오전 6시경) 고종을 주인공으로 왕세자와 문무백관이 참석하는 근정전 외진찬을 거행했으며, 9월25일 진시에(오전 8시경) 강녕전에서 고종과 왕비를 주인공으로 세자, 세자빈, 종친 등이 참가하는 내진찬을 거행했고, 같은 날 밤 10시경에는 강녕전 야진찬을, 마지막 날인 9월 26일 오전 8시경에는 왕과 왕비가 참석하지 않은 가운 데 그 동안 수고한 신하들을 위로하기 위하여 강녕전에서 왕세자 회작(會酌)을, 같은날 밤 10시경에는 왕세자 야연(夜讌)으로 이뤄졌다. 임진년 외진찬은 다른 시기의 연향 때와 마찬가지로 국왕에게 아홉 번의 잔을 올리는 진작의(進爵儀), 국왕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송축, 궁중정재무공연 및 왕세자와 신하들에게 술과 음식을 내리는 형식을 진행되었다. 본 자료에 관한 사항은 한국문화재보호재단(02-566-0252/3)에서 제공한다. 담당자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문화행사팀 이재혁 연락처 : 02)566-0252/3 [SET_FILE]1[/SET_FILE]
화성능행도병 중 봉수당진찬도
<화성능행도병 중 봉수당진찬도>


근정전 진찬도
<근정전 진찬도>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