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좌측메뉴

제목
‘백용성 역 한글본 『신역대장경』(금강경강의)’ 등 2건 문화재 등록 예고
등록일
2014-10-30
주관부서
근대문화재과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5129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백용성 역 한글본 『신역대장경』(금강경강의)’과 ‘한암스님 가사(袈裟)’ 2건을 문화재 등록 예고하였다.

 

  ‘백용성 역 한글본 『신역대장경』(금강경강의)’은 백용성 스님이 한문으로 된 금강경(金剛經) 원문을 순 한글로 번역한 해설서로, 전라북도 익산시에 있는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으며, 1922년에 최초로 제작된 초판본이다.
 ※ 금강경(金剛經): 인도에서 2세기에 성립된 공(空)사상의 기초가 되는 반야경전

 

  백용성 스님은 3·1 운동 때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분으로 불교 대중화 운동을 촉진하기 위해 ‘삼장역회’를 조직하여 한문을 우리말로 번역하는 저술에 전력하였다. 그 중 한글본 『신역대장경』은 불교 경전의 대중화 확립에 크게 이바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당시 한글자료로도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

  이 전적에 대해 관계전문가인 오용섭 교수(인천대학교 문헌정보학과)는 “최초 국역 불경이자 후일 금강경 국역의 초석이 되었다는 점에서 종교적인 가치를 찾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민족의식을 깨우치고자 한 선각자 백용성 스님의 민족정신을 엿볼 수 있었다.”라고 평하였다.

 

  아울러 월정사(강원도 평창군)에서 소장하고 있는 ‘한암스님 가사(袈裟)’는 근대 불교 중흥에 평생을 바친 근대기의 대표적인 불교 지도자인 한암 스님의 유물로 총 3점이다.
 ※ 가사(袈裟): 장삼 위에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 밑으로 걸쳐 입는 승려의 법의(法衣)

 

  이 가사들은 옷감 자체가 그 당시 쉽게 구할 수 없는 고급 비단과 모본단 등을 사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역사성과 시대성을 반영하고 있는 유물로서 역사적, 문화적, 종교적, 생활사 등 다방면으로 가치가 있다. 특히, 복식사와 직물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닌 자료이다.
 ※ 모본단: 수자직(날실 또는 씨실의 한 부분이 주로 표면에 나오도록 설계한 것)으로 제작된 비단

 

  이 유물에 대하여 관계전문가인 박성실 문화재위원은 “조선 중기부터 내려온 선종 불교 단일 종단 체제의 마지막 가사라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또 조형적 특징이나 바느질 방법 등 전통가사의 특징을 가지고 있고, 특히, 모시 가사는 보기 어려운 귀한 자료로서 학술적, 종교적 가치가 높다.”라고 평하였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등록 예고한 ‘백용성 역 한글본 『신역대장경』(금강경강의)’과 ‘한암스님 가사(袈裟)’ 2건에 대하여, 30일간의 등록 예고 기간 중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 절차를 거쳐 문화재로 등록할 예정이다.

 

‘한암스님 가사(袈裟)’ - 25조 홍색 모본단가사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근대문화재과 장철호 사무관(☎042-481-4892)이나 정석경 주무관(☎042-481-4889)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