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좌측메뉴

제목
근현대 산업기술분야 유물 조사 시작
등록일
2012-05-02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3101

- 보릿고개를 극복하게 한 통일벼, 최초 국산 고유모델 자동차 등 -


  문화재청(청장 김 찬)은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의 문화적 자산을 파악하고 보존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우리나라 근현대 산업기술 분야에서 가치 있는 유물들을 조사하여 목록으로 작성한다.

 

  근현대 산업기술분야 목록화 조사는 근대시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100여 년간의 산업기술사를 분야별로 정리하여 산업기술의 흐름과 성장을 시대별·분야별로 목록화하고, 산업기술 분야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미와 가치가 있는 유물 또는 제품을 선정할 계획이다.

 

  조사 대상은 당대인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쳤거나 사회적 이슈가 된 제품, 기술적으로 획기적이거나 국민 생활을 변화시킨 제품, 후대의 관점에서 현재 생활을 알려주는 산업제품이다. 또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산업분야의 최초 국산제품, 기존에 있었으나 기술·재료·디자인 면에서 신제품이면서 일정 기간에 많은 대중이 사용하여 기술발전을 볼 수 있는 제품, 첨단 재료를 활용한 초기의 제품, 기타 산업기술사적으로 중요한 것이다.

 

  특히, 보릿고개를 극복하고 녹색혁명을 가져온 통일벼,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산업분야인 자동차에서 우리나라 첫 고유모델이자 첫 국외 수출품, 국내에서 많은 대중이 사용했던 첫 번째 국산라디오, 세계에서 최초로 우리나라가 제품화한 디지털 음악 기기 등이 그 대상이다.

 

  그동안 문화재청은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기초조사를 실시해 왔으나, 1960년대 이전으로 한정하였고, 조사 분야도 자동차, 철도, 통신 등 일부 분야를 대상으로 하였다.  우리나라가 세계 최빈국에서 현재의 모습으로 성장한데는 산업기술분야의 획기적인 발전이 있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급속한 발전과 개발 압력 속에 사라져가는 우리 시대의 문화적 자산을 보존·관리하여 후손에게 물려주기 위해 조사·연구와 문화재 등록 작업이 시급한 시점이다.

 

  문화재청은 전북대 산학협력단(과학학과 김근배 교수)에 의뢰하여 이번 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산업기술 분야 유물을 소장하고 있는 기관과 개인은 올해 9월까지 문화재청 또는 조사단(042-350-4643, koreanscience@ gmail.com / 연구원 : 카이스트 문만용 교수)에 유물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사진, 연락처를 제공하면 된다.

 

  문화재청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제작·형성된 지 50년 이상 된 중요한 유물을 선정하여 문화재로 등록하고, 현대 시기에 제작되는 산업기술 분야 문화적 자산에 대한 보존과 관리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근대문화재과 배민성 042-481-4892
                   이소연 042-481-4894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