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좌측메뉴

제목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종묘대제」봉행
등록일
2012-05-02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3317

- 5월 6일 오후 4시 30분, 정전(正殿) 제향(祭享) -


  문화재청(청장 김 찬)과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이사장 이세섭)이 공동 주최하고 종묘대제봉행위원회(종묘제례보존회ㆍ종묘제례악보존회)가 주관하는 종묘대제(宗廟大祭)가 5월 6일 일요일 오후 4시 30분에 종묘 정전에서 거행된다.
 
  종묘제례는 조선왕조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가 모셔진 정전과 영녕전에서 왕이 직접 거행하는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길례(吉禮)에 속하는 가장 규모가 크고 중요한 제사였기에 종묘대제(宗廟大祭)라고 한다. 

 

  올해 종묘대제 봉행에서는 특히 정전 제향을 해 질 녘에 봉행하여 제향 중심의 제례행사로 진행함으로써 엄격하고 경건한 제례의 본질을 구현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종묘제례와는 달리 어가행렬을 먼저 진행한 후 영녕전(永寧殿), 정전(正殿)의 제향(祭享) 순서로 종묘제례를 봉행한다.

 

  자세한 진행 순서는 오전 11시 30분부터 12시 30분까지 경복궁 광화문→세종로사거리→종로 1·2·3가→종묘로 이어지는 어가행렬과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영녕전 제향, 오후 4시 30분부터 정전 제향 순으로 거행된다. 아울러 이날 행사에는 시민으로 구성된 자원봉사자가 행사 안내원으로 직접 참여하게 된다.

 

  종묘는 건축양식과 경관적 가치를 인정받아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중요무형문화재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은 2001년 5월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2008년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으로 명칭변경)에 선정되었다. 종묘대제는 유형과 무형의 세계유산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으며, 특히 제례뿐 아니라 음악(종묘제례악)과 춤(일무·佾舞)이 함께 어우러진 종합의례로 전 세계인의 찬사를 받고 있다.

 

  유교문화의 핵심가치인 ‘예(禮)’와 ‘악(樂)’을 국가의례로 상징화한 조선 시대의 종묘대제가 지금까지 살아있는 문화유산으로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고, 이제 국제문화행사로 개최되어 인류 공동의 문화유산으로서 전 세계인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번 행사에는 문화재청장과 한국문화재보호재단 이사장을 비롯하여 문화재 관계 인사, 각국 주한대사, 전주이씨 종친, 국내외 관광객 등 2만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무형문화재과 이재필 042-481-4968
                   임승범 042-481-4969

 

2011년 종묘대제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