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산릉제례(건원릉 친향 기신제) 봉행
등록일
2005-06-29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15829




    문화재청(청장 兪弘濬)은 조선조 역대 왕과 왕비에 대한 제사의식의 하나인 산릉제례(山陵祭禮) 『건원릉 친향 기신제(健元陵親享忌辰祭)』를 6월 27일 11시 20분부터 오후 1시까지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에 위치한 건원릉(조선조 태조의 능)에서 재현·봉행했다.     제례 재현행사에는 제관 21명, 문무백관 13명, 통례 2명, 근시 4명, 감찰 2명, 가마꾼 14명, 노부 56명, 종친부 30명, 취타대 40명 등 총 182명이 동원되며, 행사 고증, 제례 준비 등 효율적이고 원활한 진행을 위해 사단법인 종묘제례보존회(회장 이환의)에서 주관하여 행사를 치르도록 하였다.     건원릉 친향 기신제는 왕의 행렬이 궁궐을 나서서 산릉에 도착하는 행차의식과 초헌관(初獻官)이 대차(大次-장막)에서 제복으로 갈아입고 소여(小輿- 가마)를 타고 정자각(丁字閣)으로 들어가는 것을 시작으로 제관과 종친, 문무관 등이 참여하여 제례를 행하고, 궁으로 돌아오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조선시대 초에는 왕과 왕비가 승하한 후 담제(禫祭-대상을 지낸 다음 다음달에 지내는 제사)까지 매월 삭망(朔望 : 초하루, 보름)과 속절(俗節-정초, 한식, 단오, 추석, 동지, 그믐)에 왕 또는 왕세자가 직접 능에 행차하여 제례를 행하고 담제 후에는 경복궁 문소전(文昭殿)에서 기신제를 지냈으나, 임진왜란 때 경복궁이 소실된 후부터는 담제 이후에도 산릉에서 기신제를 지냈다.     문화재청에서는 제향의식 중에서 대표적인 『건원릉 친향 기신제』를 ’97년부터 매년 재현·봉행함으로써 전통문화의 맥을 전승하고 조상을 섬기는 선조들의 효(孝)사상을 널리 알리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