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차세대 국가유산 전자행정시스템 2025년 본격 가동
등록일
2023-09-21
주관부서
정보화담당관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1786

지정·해제, 보존·관리 등 국가유산 행정 전 과정 고도화로 사용자 중심의 업무처리 도모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국가유산을 체계적으로 보존·관리하고 양질의 대국민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가유산 행정의 전 과정을 디지털로 통합·운영하는 「차세대 국가유산 전자행정시스템 구축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2004년부터 운영되어온 문화재청의 ‘국가유산 전자행정시스템’은 문화재청, 지자체, 수리기술자, 지표·발굴기관 등 국가유산 분야 1,400여 개 기관의 1만 5,000여명과 일반 국민이 이용하고 있다. 지정, 보수정비, 지표발굴, 현상변경 등 24개 국가유산 보존관리 업무의 전자행정 처리가 이뤄지며 총 5,890만 여건의 이력정보를 축적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국가유산 체제로의 전환과 변화하는 행정수요와 정책 환경에 맞춰 기존의 전자행정시스템을 고도화하고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문화재청의 정보화 전략계획(ISP)’을 수립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올해 3월부터 문화재청 각 부서와 지방자치단체의 변화된 업무현황과 요구사항 등을 분석하였다.

‘차세대 국가유산 전자행정시스템’은 이달부터 구축에 들어가 2024년 말까지 약 16개월에 걸쳐 진행되며,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가동하여 국가유산 행정을 통합관리 체계로 전환할 계획이다.

주요 구축 내용은 ▲ 국가유산의 보존관리 행정의 전 과정(지정·해제, 보존·관리, 활용 및 정보 제공, 국고보조사업, 보수정비, 현상변경, 정기조사, 역사문화환경 보존지역 내 개발행위 등)을 전산화·자료화(데이터화)하여 행정업무의 누락과 중복을 없애며, ▲ 수기업무를 최소화하여 사용자 중심의 빠르고 정확한 업무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 문화재청,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협업기관과 민원인이 국가유산 관련 행정처리 과정에서 생산되는 자료(데이터)를 축적하고, 통계화하여 국가유산 정책에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차세대 국가유산 전자행정시스템이 도입되면 지방자치단체의 국고보조사업 신청 및 관리, 발굴조사기관 및 동물보호단체 등 협업기관의 사업신청 및 허가과정 등 국가유산 관련 민원업무가 한층 간편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문화재청은 국가유산 행정시스템의 고도화, 그리고 선진화된 데이터의 통합관리를 통해 미래의 국가유산 보존·관리를 미리 준비해 나가는 ‘일 잘하는 문화재청’이 되도록 적극행정을 지속해 나갈 것이다.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정보화담당관실 이태호 사무관(☎042-481-4755), 김영진 주무관(☎042-481-4772)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