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강릉 신라 토성에서 백제식 저장구덩이와 금제장식 출토
등록일
2013-02-14
주관부서
대변인실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5805

- 2.15. 오후 2시, 강릉 강문동 유적 발굴 현장설명회 -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국강고고학연구소(소장 차재동)는 문화재청(청장 김  찬)의 허가를 받아 발굴조사하고 있는 강릉 강문동 현대호텔 신축용지 내 유적에 관한 2차 현장설명회를 오는 15일 오후 2시 발굴조사 현장에서 개최한다.

 

  2012년부터 발굴 중인 이 유적은 5~6세기에 축조된 신라 토성(土城)으로 밝혀진 바 있다. 이는 신라 지증왕 13년(512) 강릉지역에 하슬라주(河瑟羅州, 강릉 일대의 신라시대 명칭)를 설치하고 군주(軍主)를 파견하였다는 시기에 해당하여 우리나라 동해안 지역의 고대사와 신라 토성 연구에서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이번 조사는 성 내부인 죽도봉(竹島峰) 정상부(A 지구)와 그 아래(B 지구)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A 지구에서는 배수시설과 주거지, 대형 저장구덩이가 확인되고, B 지구에서는 건물지와 수혈주거지(竪穴住居址, 움집터) 등이 발굴되었다.

 

  A 지구의 배수시설은 성의 정상부에서 내려오는 물을 처리하기 위해 할석(割石)들이 깔렸으며, 배수로 내부에서는 지름 6cm 정도의 순금제 장식(21g)이 출토되어 주목된다. 성 내부는 판축(版築)하여 평지를 조성하였는데, 2열로 1.8m 간격을 두고 나무 기둥을 박아 판축시설을 한 것이 특징이다.

 

  또 위가 좁고 아래가 넓은 플라스크(Flask)형 저장구덩이(지름 및 깊이 2m 내외의 구덩이 5기) 내에서는 갈판과 갈돌, 각종의 신라 토기가 출토되었다. 주로 백제유적에서 확인되는 이 같은 시설이 신라성에서 처음으로 발굴되어 상호 연관성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이외에도 B 지구에서는 초석을 갖춘 건물지와 추정 공방지(工房址, 작업장), 부뚜막을 갖춘 소성유구(燒成遺構, 불탄 흔적이 있는 주거지) 등도 드러나 당시 산성 내부의 생활상을 조명할 수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5~6세기에 조성된 신라 토성 내부에서 각종 시설과 순금제 장식이 출토되었다는 것은 당시 성(城)의 위상을 짐작할 수 있고, 또 처음으로 신라성에서 백제식 저장구덩이가 확인되고 있어 고대 강릉지역 연구에 많은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조사단은 판단하고 있다.

 

금제장식

금제장식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 + 상업용금지)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대변인실 이은석 학예연구관(☎042-481-4950), 장윤석 주무관(☎042-481-4951)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