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땅 속에 묻힌 조선의 역사, 조선왕릉
등록일
2011-11-30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2820

-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Ⅱ) 발간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영원)는 2006년부터 조선왕조의 역사와 문화적 가치를 종합적으로 담고 있는 조선왕릉에 대한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를 시행하고, 2009년에 이어 두 번째로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Ⅱ)」를 발간했다.  
 
  이번 보고서는 제4대 세종·소헌왕후의 영릉(英陵)에서부터 제8대 예종의 창릉(昌陵), 장순왕후의 공릉(恭陵)에 이르는 총 8기 왕릉에 대한 조사 내용을 총망라했다. 조선왕릉 중 최초의 합장릉인 영릉(英陵)과『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충실히 따라 조성되어 조선왕릉의 모범이라 할 수 있는 문종의 현릉(顯陵)이 수록되어 있다.

 

  또한, 어린 나이에 숙부에게 사사(賜死:임금이 독약을 내려 자결을 하게 한 일)되어 머나먼 영월 청령포에 외로이 조성된 단종의 장릉(莊陵)과 최초의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 하나의 정자각 뒤로 한 줄기의 용맥에서 나누어진 다른 줄기의 언덕에 별도의 봉분과 상설을 배치한 형태인 세조·정희왕후의 광릉(光陵) 등이 있다. 본 보고서의 수록된 왕릉에는 조선 전기의 파란만장한 왕실 역사와 왕릉의 양식변화가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이 보고서에는 각 능별로 능침, 석물, 건축물 등에 대한 사진과 실측도면을 수록했다. 또한, 의궤와 능지 등 문헌에 전하는 왕릉 관련 기록들을 정리하여 소개했고, 이 기록들을 근거로 조선왕릉의 조성과정과 원형보존을 위한 끊임없는 관리 노력 등 당시 능원관리의 전모를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앞으로 조선왕릉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관련 조사보고서를 차례대로 발간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릉에 대한 종합적이고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할 예정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 김지연 042-860-9192
                           박지연 042-860-9195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