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이 넋굿 받으시고, 이승에 얽힌 고리 풀고 잘 가오
등록일
2011-10-25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2731

- 넋을 천도하는 기록, 「큰 무당을 위한 넋굿」발간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영원)는 우리나라 전통 무속굿인 ‘넋굿’을 조사 기록한 「큰 무당을 위한 넋굿」을 발간했다.


  ‘넋굿’은 죽은 자의 넋을 위로하고 정화시켜 극락으로 인도하기 위한 무속의례이다. 죽음은 그 자체로 큰 슬픔이다. 그러나 우리 조상은 죽음이 가져오는 슬픔조차도 문화적 소재로 삼아 새로운 예술형태를 창조했다. 죽은 이를 천도하는 넋굿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세계관, 생사관 그리고 내세관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천도의례(薦度儀禮)이다.


  이 보고서는 동해안 굿의 故 송동숙(宋東淑), 씻김굿의 故 박병천(朴秉天) 그리고 새남굿의 故 김유감(金有感)에게 올린 세 번의 큰굿을 조사하고 기록한 것이다. 이들 3명은 우리나라를 지역별로 대표하던 큰 무당이었다. 제자와 가족들이 죽은 3명의 무당을 위해 실제로 올린 굿이기 때문에 생생한 현장성과 지역적 다양성을 함께 보여준다.


  보고서에는 지역별 무속굿에 대한 총괄적 설명과 그간의 연구성과도 함께 수록함으로써 체계적으로 넋굿을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보고서는 비매품(409쪽)으로 전국 국·공립도서관과 대학도서관에 배포되며, 국립문화재연구소 웹사이트(www.nrich.go.kr)에서도 원문(PDF)을 볼 수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소 임형진 042-860-9233
                         이명진 042-860-9235

 

<故 송동숙오구굿 - 조상굿을 연행하는 무녀(김동연)가  망자를 떠올리며 눈물을 보인다>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