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울산 병영성」사적 추가지정
등록일
2011-05-23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2556

문화재청(청장 최광식)은 울산광역시 중구에 있는 사적 제320호 ‘울산병영성(蔚山  兵營城)’ 주변 3필지 661.9㎡를 사적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추가지정 한다.

 

‘울산병영성’은 경상좌도의 병마절도사가 머물던 성으로, 조선 태종 17년(1417)에 쌓은 해발 45m 이하의 낮은 구릉을 이용해 골짜기를 두른 타원형의 성이다.
 
초기에는 여장(女墻) 성벽 위에 둘러 쌓여진 담. 활이나 조총들을 쏘기 위한 타구가 있음. 을 비롯한 기본적인 시설만 갖추었으나, 세종 때에 이르러 국방력 강화를 위해 성을 보호하고 공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옹성(甕城) 성문의 앞을 가리어 빙둘러 축조한 성문을 방어하기 위한 성·적대(敵臺) 성문 양옆에 외부로 돌출시켜 옹성과 성문을 적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한 방형(方形을)의 대(臺 )·해자(垓字) 성벽 외부에 적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둘러 판 못 등 여러 방어시설을 설치했다.『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당시 성의 둘레는 3,723척 (약 1.2㎞)이고, 높이는 12척(약 3.7m)이며, 성 안에는 우물·도랑·창고 등이 있었다고 한다.

 

조선시대 경상좌도 병마절도사의 영성(營城) 조선시대 군사조직으로 육군의 총지휘부였던 병마절도사가 자리하였던 곳이며, 조선시대 성곽연구에 중요한 유적으로 인정받아 1987년 11월에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이번 추가 지정구역은 북문지 성벽 외측의 구릉 일부분과 서문지 및 남문지에 각각 인접한 곳으로 앞으로 문화재청은 체계적인 정비를 통하여 울산병영성의 역사문화환경을 보존해 나갈 계획이다.

 

보존정책과 문영철 042-481-4835

                  이광자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