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만물이 풍요로운 그저 한가위만 같아라~
등록일
2007-09-07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899



 



추석은 음력 8월 15일로 한가위 또는 가위, 한가위 날이라고도 한다. 여기서 ‘한’이라는 말은 ‘크다’라는 뜻이고 ‘가위’라는 말은 ‘가운데’라는 뜻을 가진 옛말로, 즉 8월 15일인 한가위는 8월의 한 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이다. 한자로는 가배嘉俳라고도 하는데, 옛날부터 추석은 설과 단오와 함께 우리나라의 3대 명절 중 하나로 대단히 큰 명절이었지만 요즘에 들어서는 저마다 바쁜 생활을 하는 관계로 옛날보다는 그 모습이 많이 퇴색해버려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추석 때가 되면 무덥던 긴 더위도 물러가고 서늘한 기운이 도는 가을철로 접어든 때이므로, 넓은 들판에는 오곡백과가 무르익어 보기만 하여도 저절로 배가 부른 느낌이 들며 행복감에 휩싸인다. 추석날 아침이 되면 그동안 장만하여 두었던 새 옷으로 갈아입고, 햇곡식으로 만든 술과 햅쌀 떡에 햅쌀밥을 지어 조상님께 제사를 지내며 산소에 가서 성묘를 한 후, 마을사람들은 한 곳에 모여 즐거운 놀이를 하면서 신나게 하루를 보냈다.
이처럼 온 민족이 좋아하는 추석은 신라 때부터 시작되었는데, 신라 제3대 유리왕 9년부터 전국 여자들을 두 편으로 나누어 음력 7월 보름날부터 8월 보름까지 한 달 동안 집집마다 돌아가며 한 자리에 모여 앉아 ‘길쌈내기’를 하도록 하였다.
이 때 왕녀 한 분은 감독이 되어 한 달 동안의 성적을 종합해 8월 보름인 추석날에 그 결과를 발표하였는데, 진 편은 술과 음식을 장만하여 이긴 편에게 대접하는 풍습이 있었다. 하지만 이들은 진 편과 이긴 편 구분 없이 함께 먹고 마시며 흥을 돋우어 노래를 부르고 춤도 춰가며 진정으로 추석을 즐겼다. 그뿐 아니라 이 날이 되면 남녀노소는 물론, 특히 왕녀나 귀족 그리고 궁녀들도 예쁘게 옷을 차려 입고 하루를 마음껏 노는 풍습을 만들었다.



추석날 음식으로는 송편, 토란국과 갖은 나물을 비롯해 형형색색의 여러 과일을 많이 먹었는데, 추석날 아침에 햅쌀로 빚은 송편과 햅쌀밥, 햇과일을 가지고 조상님께 차례를 지낸 후 가족들과 함께 음식을 나누었다.
추석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햅쌀 가루를 반죽하여 콩이나 깨, 밤 등을 소로 넣어 반달 모양으로 빚어 찐 ‘송편’을 빼 놓을 수 없다. 고려시대 때 널리 퍼진 것으로 알려진 송편은 솔잎을 깔고 떡을 찌기 때문에 송편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이렇게 쪄낸 송편은 솔잎이 붙은 채로 보관하는데, 솔잎에서 나는 향기도 좋지만 더 중요한 것은 솔잎으로 송편을 찌게 되면 송편을 상하지 않게 오래도록 보관할 수 있었기 때문이란다. 이처럼 조상들은 이미 소나무의 과학적인 효능을 알았던 것이다.
또한 추석에 먹는 국으로는 시원하게 끓인 ‘토란국’이 제격인데, 서울과 경기 지방의 대표적인 추석 별미가 토란국이었다. 알칼리성 식품인 토란에는 소화를 돕고 변비를 예방하는 성분이 들어 있어 떡이나 고기를 많이 먹어 배탈이 나기 쉬운 추석에 토란국을 끓여 먹음으로써 이를 슬기롭게 극복했던 것이다.
추석날 아침에 지내는 ‘차례’는 지방마다 혹은 집안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추석날이 되면 햇곡식으로 밥과 떡, 술을 만들고 햇과일 등으로 차례 음식을 준비하는 것은 별반 크게 다르지 않았다. 차례의 절차를 살펴보면, 먼저 이들은 추석날 이른 아침에 사당을 모시고 있는 종가宗家에 모여 고조高祖까지의 차례를 지내고 그 위부터는 시제로 대신하는 형식을 따랐다.
추석날 차례, 성묘와 같은 조상에 대한 예를 마친 뒤, 마을 사람들은 하나둘씩 모여 즐거운 놀이를 즐겼는데 가장 많이 행했던 놀이가 ‘소먹이 놀이’였다. 이 놀이는 마을 사람들로 구성된 농악대가 상쇠의 선도에 따라 한바탕 신나게 풍물을 울리며 놀다가, 허리를 굽힌 두 사람 위에 멍석을 뒤집어씌워 뒷사람은 새끼줄로 꼬리를 달고, 앞사람은 막대기 두 개로 뿔을 만들어 소의 모양을 만든 후 마을의 부잣집을 찾아다녔다. 몰이꾼들이 부잣집 앞에 이르러 먹을 것을 달라고 청하면 집주인은 술과 안주를 내놓는데, 이 때 농악대가 뒤따르면서 춤과 농악을 울리며 한바탕 흥겹게 노는 모습을 띄었다. 
다음으로 우리에게 너무나도 친숙한 ‘강강술래 놀이’가 있다. 이 놀이는 목포 등 호남지방과 남해 그리고 경상도 지방에서 많이 행하던 놀이로, 추석 날 밤부터 시작해 3일째 되는 저녁 때까지 즐기던 여인들의 놀이였다. 밝은 달빛 아래서 벌이는 이 놀이는 손에 손을 잡고 원을 만들어 빙빙 돌아가며 흥겹게 춤을 추며 노는데, 선소리와 후렴으로 노랫말과 박자에 맞춰 춤을 추는 것이 특징이다.
이밖에도 ‘반보기 놀이’라는 풍습이 있다. 이 행사는 그 시대 며느리의 한이 서린 대단히 가슴 아픈 추억이 깃들어 있다. 친정어머니와 시집간 딸, 그들은 서로의 소식을 알고 싶었으나 엄한 시집살이 탓에 친정을 찾아가는 것도 친정 부모님의 안부를 묻는 것도 도저히 불가능했다. 그리하여 어쩔 수 없이 반보기를 행했던 것이다. 반보기 놀이란, 친정어머니와 시집간 딸이 중간 지점의 놀기 좋은 장소에서 만나 그동안의 그리움을 마음껏 풀고 가지고 온 음식을 나누어 먹은 후 해가 서산으로 넘어갈 때가 되면 아쉬움을 남기고 다시 각자의 집으로 되돌아가는 풍습이었다.
마지막으로 조금 더 특별한 풍습을 소개하면  다음 해의 풍년을 기원하는 ‘올게심니’라는 것이 있다. 이 행사는 추석을 전후해 잘 익은 벼, 수수, 조 등의 이삭을 한 줌씩 베어다가 기둥이나 대문 위에 걸어 두는 풍습을 말하는 것으로, 올게심니한 곡식은 다음 해에 씨앗으로 사용하고 남은 것으로는 떡을 해서 조상신이나 터주에 바쳤다.
이처럼 추석은 농경민족으로서 수확의 계절을 맞이하여 풍년을 축하하고 조상에게 감사의 마음을 표하는 동시에 여러 가지 놀이를 통해 즐거움을 만끽하고자 했던 우리 민족 고유의 大명절이었다. 추석에 펼쳐진 각양각색의 행사는 추석을 맞이하는 이들의 마음을 더욱더 풍요롭고 흥겨롭게 만들어 주었다. 하지만 오늘에 이르러 점차 추석의 행사는 축소되고 어떤 것은 볼 수조차 없어 많은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이에 나의 작은 바람은 옛 조상들의 추석, 그 풍성함의 명맥을 잇는 노력이 아주 가까운 곳에서부터 일어났으면 한다.

글 : 이광렬 동화작가 
일러스트 : 백금림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