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제40회「전통공예명품전」개막
등록일
2020-05-27
주관부서
문화재청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1834

- 6.11.~24.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전시관 ‘결’·‘올’-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김연수)과 (사)국가무형문화재기능협회(이사장 박종군)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제40회 「전통공예명품전」이 오는 6월 11일부터 24일까지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전시관 ‘결’ㆍ‘올’(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서 개최된다.


  1979년을 시작으로 올해 40회를 맞는 전통공예명품전은 매년 수준 높은 전통공예품을 선보임으로써 우리 공예의 아름다움과 장인들의 노고를 널리 알리고 전승 활동의 목적과 의의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국가무형문화재기능협회 회원 전시다.


  이번 전시에는 전통공예 작가들의 노력과 정성이 담긴 총 101 작품이 출품될 예정이다. 그중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를 금속상감기법으로 재해석한 ▲ 「은상감 세한도」는 면 모양을 파낸 후 메우는 면상감 기법에 순은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한 작품이다. 그리고 다산과 다복을 상징하는 포도 문양을 나전으로 표현하고 옻칠을 여러 번 반복하여 광을 낸 ▲ 「나전포도문 대반」, 문방사우 중 필묵을 보관하는 가구로, 단순하고 소박한 짜임새로 실용성을 살리면서도 품격이 느껴지는 ▲ 「연상」등을 만나볼 수 있다.


  또한, 선조들이 두루마리, 붓, 편지 등을 꽂아 두던 것으로, 네 개의 보관 칸에 더해 앞면에도 별도의 칸을 마련하여 수납기능을 높인 ▲ 「고비」, 부정한 기운을 물리치는 벽사(辟邪)의 뜻을 담은 백호를 가운데에 배치하고 그 주변을 상서로운 봉황을 문양화하여 단청기법으로 제작한 ▲ 「봉황백호도」, 궁에 입궐할 때 관복 뒤에 착용하던 장식품으로, 조선 후기 문신인 정원용(鄭元容, 1783~1873)의 유품을 재현한 ▲ 「후수」등 다양한 전통공예 작품을 한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다.


  한편 올해는 코로나19 확산 예방과 생활 속 거리두기 이행을 위해 공식 개막 행사는 생략한다. 그리고 전시장을 방문하여 관람할 경우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며, 동시 관람 인원수를 20명으로 제한하고 관람 동선을 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등 방역관리에도 힘쓸 계획이다.


  아울러 직접 전시장을 찾아오기 어려운 경우에는 국가무형문화재기능협회 누리집(www.kpicaa.or.kr)와 인스타그램(www.instagram.com/kpicaa88)을 통해 온라인으로 작품들을 만나볼 기회도 마련된다. 이번 전시에 대한 더욱 자세한 사항은 국가무형문화재기능협회(☎02-3453-1685~6)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1포스터.jpg

<안내 홍보물>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립무형유산원 전승지원과 강재훈 사무관(☎063-280-1441), 홍지훈 주무관(☎063-280-1456)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