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좌측메뉴

제목
(국영문 동시배포) 조선시대 국왕의 능행길을 밝히다
등록일
2024-01-09
주관부서
궁능유적본부, 궁능서비스기획과
작성자
문화재청
조회수
976

궁능유적본부, 조선시대 능행 연구 보고서 문화재청·궁능유적본부 누리집 통해 공개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지난해 8월부터 12월까지 조선시대 능행(陵幸)의 실체를 규명하기 위해 진행한 연구 성과를 담은 보고서를 문화재청과 궁능유적본부 누리집을 통해 공개하였다. 능행(陵幸)은 조선시대 국왕이 선대 왕이나 왕비의 능에 제사를 지내거나 참배하기 위해 행차하는 일을 말한다.
  * 문화재청 누리집: http://www.cha.go.kr
  * 궁능유적본부 누리집: http://royal.cha.go.kr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강제훈 교수 연구팀이 진행한 이번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능행의 목적과 의미 규명, 궁궐에서 왕릉으로 가는 능행 행렬의 구성과 능행 경로 파악, 실제 능행 사례를 분석했으며,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내용이 밝혀졌다.
첫째로, 의례를 위한 공간으로서 조선왕릉이 가지는 독특한 특성과 왕릉 의례 절차의 시대적 변화를 분석하여 능행의 의미를 새롭게 규명하였다. 조선왕릉은 정자각을 중심으로 살아있는 사람들이 의례를 행하는 공간이 죽은 이를 모신 공간 못지않게 크고 중요하게 조성되어 왕릉 내에서 의례가 활발히 행해졌다. 조선 후기에는 기존에 별도의 사당에서 지내던 기신제를 왕릉에서 지내기 시작하였고, 왕이 직접 행하는 의례 절차가 확대되었는데, 이를 통해 능행이 국왕의 정통성을 확인하는 행위라는 의미가 점차 강화되었다.

둘째로, 능행 행차의 구성과 규모가 시기적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밝혔다. 능행에는 국왕의 행차 구성 중 가장 규모가 작은 소가노부가 사용된다. 조선 초기 능행 규모는 시위 병력과 의장, 동반하여 따라가는 문무백관을 포함하여 4,500명 내외로, 상황에 맞게 유동적으로 조정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농민병 중심에서 직업병 중심으로 국역(國役) 체제가 변화함에 따라 능행에도 상비병 동원이 축소된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능행의 규모는 일정하지는 않지만 대략 2,900~4,000명, 많으면 6,400명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 소가노부: 왕의 행차 때 권위를 드러내기 위해 사용하는 의장 구성 중 하나로, 조선 국왕이 사용하는 의장 중 대가의장, 법가의장에 이어 세 번째로 규모가 큰 구성이다.

셋째로, 능행 행차에 음악을 연주하기 위해 편성된 악대의 구성과 시대적 변화를 처음으로 조사했다. 조선 초기에는 어가 앞에 악대가 있었으나, 조선 후기에는 선전관청 소속 악대가 어가 앞뒤에 배치되었다. 행차 중에는 삼현육각(피리, 대금, 해금, 장고 등)을 맡은 악대와 취타악기(태평소, 나발, 자바라, 북 등)를 연주하는 악대가 음악을 연주하며 함께 했다.
* 어가: 임금이 타던 가마 * 선전관청: 임금의 군사보좌관으로 활약하던 선전관이 근무하던 관청

넷째로,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와 같은 연대기 사료에 기록된 능행 사례를 전수 조사하여 시대별, 국왕별, 왕릉군별 능행 사례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조선이 건국된 1392년부터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인 순종이 사망한 1926년까지 535년 동안 총 940회, 연평균 1.76회의 능행이 있었다. 태조대부터 성종대까지(1392~1494년) 능행이 한 해 한 번 이상은 시행되었던 반면, 연산군대부터 현종대까지(1494~1674년)는 능행이 백성들에게 부담이 된다는 인식과 오랜 전쟁 후 회복을 위해 능행 횟수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하지만 숙종대를 기점으로 이후 능행이 활발해졌다. 특히 동구릉이나 서오릉 같은 왕릉군은 무덤이 추가되면서 시점에 따라 왕릉 구성이 변화하는데, 왕릉군 형성 과정에 따라 능행 양상이 변화하는 내용을 분석한 것은 기존 연구에서는 시도된 적 없는 새로운 관점이다.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분석을 기반으로 능행 경로를 추출하고, 조선시대 도로망을 바탕으로 한 지리정보시스템(GI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궁궐에서 왕릉을 오가는 왕복 경로도 지도상에 시각화하였다. 이는 향후 능행 행렬 재현 등 궁능 활용 콘텐츠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이번 연구 성과를 앞으로 조선왕릉길 여행 프로그램의 신규 경로(코스)를 기획하거나 조선왕릉 내 역사문화관의 전시를 개편하는 데 반영하는 등 궁능 활용 콘텐츠 개발에 활용할 예정이다. 또한 올해 후속 연구도 진행하여 능행 경로를 더욱 정밀하게 밝혀내고, 국왕이 능행 과정에서 백성을 위로하는 활동을 하는 등 다양한 양상이 있음에 주목하여 능과 능, 능과 원·묘 간 이동 경로와 의례 시행 양상 등을 파악하여 능행과 관련한 보다 풍부한 이야기를 발굴할 예정이다.



The Royal Palaces and Tombs Center (Acting Director Song, In-heon)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A) conducted a research project from August to December of 2023 to study neunghaeng (陵幸) of Joseon Dynasty, and succeeded in mapping out the actual routes of neunghaeng. The report can be downloaded from the websites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Royal Palaces and Tombs Center.
*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ebsite http://www.cha.go.kr
* Royal Palaces and Tombs Center website http://royal.cha.go.kr

Neunghaeng (陵幸) refers to the visits made by the kings of Joseon Dynasty to the royal tombs of previous kings and queens who have passed away, to perform ancestral rites or to pay respect. The Royal Palaces and Tombs Center planned and outsourced a research project, which was conducted by a team led by Professor Kang, Jaehoon,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at Korea University. The research investigated the purpose and meaning of Joseon Dynasty neunghaeng, as well as identify how the neunghaeng procession from the royal palace to the royal tombs was organized, which routes it took, and analyzed records of actual neunghaeng during Joseon Dynasty.

The research analyz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Joseon royal tombs that serve as the location for the rites, as well as the changes of the royal tomb rites procedures over time, shedding new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neunghaeng. Joseon royal tomb houses T-shaped shrine (Jeongjagak) as the central location for the living to perform various rites on site; it is a spacious and grand section of the royal tomb, compatible with the spaces dedicated to the deceased. In the later years of the Joseon Dynasty, Gisinje, ancestral rites performed on the deathdays of the deceased kings and queens, were performed at the royal tombs, and other ceremonial procedures presided by the king had also been reorganized. Neunghaeng became an even more significant state ceremony, confirming the legitimacy of the king.

The research also explains how the composition and size of neunghaeng visits changed at different periods. The smallest entourage for ceremonial visits of a king, named Soganobu, accompanied the king at neunghaeng. The size of neunghaeng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was around 4,500 people, including the king’s guards, ceremonial equipage, and the accompanying statesmen, adjusted with flexibility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 the later years of Joseon Dynasty, the national military system changed from farmers being drafted as regular soldiers to career soldiers. As such, the size of mobilized soldiers for neunghaeng also has been reduc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size of neunghaeng ranged from approximately 2,900 to 4,000 people, sometimes going up to 6,400.

The composition of musical performers and their changes over time have also been analyzed for the first time through this research project. In the earlier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musical band came before the king’s palanquin. But in the later period, the band that belonged to Seonjeongwancheong, the office of the royal guards closest to the king, was placed in front of and at the rear end of the king’s palanquin. The two bands followed the basic composition of samhyeon yukgak, or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using 6 instrumental pieces, and percussion instruments.

The research team conduc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all neunghaeng recorded in chronological records of the Dynasty, such as Annals of Joseon Dynasty and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to list each neunghaeng case and its special features in terms of different period, kings and by each royal tombs. In a span of 535 years, from 1392, when Joseon Dynasty was founded, to 1926, the year when Emperor Sunjong, the last emperor of Korean Empire, passed away, a total of 940 neunghaeng took place. On average, 1.76 visits were made in a year. From King Taejo to King Seongjong (1392-1494) neunghaeng was performed at least once a year. From King Yeonsangun to King Hyeonjong (1494-1674), the number of neunghaeng declined dramatically. It was viewed as causing too much burden on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especially after having fought a long war. It was around the reign of King Sukjong that neunghaeng became active again. More tombs were added to East Nine Royal Tombs and West Five Royal Tombs, changing the composition of the royal tomb and the neunghaeng process also evolved as the royal tombs changed. This research is a first of its kind in analyzing how neunghaeng changed along with the changes made to the royal tombs.

Based on all the findings, and with the assistance of a GIS program using the road information of Joseon Dynasty, neunghaeng routes from the royal palaces to the royal tombs and back have been visualized on today’s map. This data can be directly used to develop future contents such as recreating the neunghaeng procession and other contents using the royal palaces and tombs.

Royal Palaces and Tombs Center willutiliz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hen developing new contents for travel programs around Joseon royal tombs route, as well as updating history museums within the Joseon royal tombs. In 2024, a follow-up study will be conducted on neunghaeng, to further present more detailed neunghaeng routes, as well as identify detailed stories surrounding neunghaeng. For example, it is known that the king would order various activities to be performed during neunghaeng to comfort and console the people. Such details should be further studied to present a fuller description of visiting routes and ceremonial activities performed along the way at different tombs for kings, queens and prince and princesses. These findings will add a richer narrative to neunghaeng of Joseon Dynasty.

  


연구를 통해 밝혀낸 1777년(정조 1) 능행로(출궁) 지도화 예시

< 연구를 통해 밝혀낸 1777년(정조 1) 능행로(출궁) 지도화 예시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궁능서비스기획과 임경희 연구관(☎02-6450-3865), 이홍주 연구사(☎02-6450-3833)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