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좌측메뉴

제목
(국영문 동시배포) K-공유유산 ‘칠보산도병풍’ 디지털 영상 전시, 한·미 동시 개최
등록일
2024-03-15
주관부서
국제협력과, 국립고궁박물관, 전시홍보과
작성자
문화재청
조회수
419

국립고궁박물관(3.15.~5.26.)과 미국 클리블랜드박물관(3.15.~9.29.) 개최… 배우 류준열 영상 해설 참여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김정희)과 함께 미국 클리블랜드미술관(관장 윌리엄 그리스워드)가 소장하고 있는 《칠보산도병풍(七寶山圖屛風)》을 소재로 한 특별전 ‘작은 금강, 칠보산을 거닐다 : 미국 클리블랜드미술관 소장 《칠보산도병풍》 디지털 영상 전시’를 서울 국립고궁박물관 기획전시실(3.15.~5.26.)과 미국 클리블랜드미술관(3.15.~9.29.)에서 동시 개최한다.
* 《칠보산도병풍》: 칠보산의 모습을 비단 위에 수묵담채로 그린 10폭 병풍 그림(19세기 作)
[크기] 전체 (폭)460.0×(높이)185.2cm, 각 화면 (폭)42.9×(높이)158.2cm

미국 클리블랜드미술관 소장 《칠보산도병풍》은 함경북도 명천(明川)에 있는 칠보산 일대의 장관을 그린 그림이다. 함경도 회령부(會寧府) 판관(判官)이었던 임형수(林亨秀, 1514~1547)가 1542년 3월에 칠보산을 유람한 뒤 여행기인 「유칠보산기(遊七寶山記)」를 남긴 이후로 북관(지금의 함경도)의 대표적인 명승이 되었다. 이를 계기로 칠보산을 소재로 한 작품이 조선시대에 유행하였으며, 해당 병풍도 19세기 조선시대에 그린 것으로 추정되며 작자는 미상이다.
*「유칠보산기」: 조선전기 문신 금호 임형수의 문집인『금호유고(錦湖遺稿)』에 수록된 칠보산 유람기로, 유람 동기와 동행 인물, 왕래 여정, 그리고 경승(景勝, 경치가 좋은 곳)에 대한 설명과 감회 등을 상세히 기록하였으며, 이름이 없는 경승은 명칭을 부여하여 칠보산 유람문화의 서막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음.

《칠보산도병풍》은 19세기에 유행한 연폭(連幅)의 대형 병풍으로 제작되었으며, 칠보산의 전경을 섬세한 필치로 그려냈다. 1폭 상단의 화제(畵題)를 통해 칠보산 명칭의 유래를 알 수 있으며, 봉우리와 바위 곳곳에 적혀있는 이름을 통해 개심사(開心寺), 회상대(會象臺), 금강굴(金剛窟) 등 칠보산의 명소들을 확인할 수 있다.
* 연폭(連幅) : 여러 폭으로 구성된 병풍 전체를 하나의 대형 화면으로 구성하여 가로로 긴 화포(캔버스)와 같은 효과를 냄.
* 화제(畵題) : 그림에 써넣은 시를 비롯한 각종 글귀. 《칠보산도병풍》은 남구만(南九萬, 1629∼1711)의『약천집(藥泉集)』에 실린 칠보산에 대한 소개를 필사함.

국립고궁박물관 2층 기획전시실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는 「유칠보산기」를 남긴 임형수가 칠보산으로 유람을 떠났던 3월 15일로 개막 시기를 맞추어 전시를 찾은 관람객도 칠보산을 함께 유람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전시 내용은 ‘《칠보산도병풍》디지털 영상’, ‘칠보산도 세부 확대 보기 콘텐츠’, ‘미국 클리블랜드미술관 소장 한국 문화유산 3D 뷰어 콘텐츠’ 등으로 구성된다. 미국 클리블랜드미술관에서는 ‘《칠보산도병풍》 실물’ 및 ‘《칠보산도병풍》디지털 영상’으로 구성된 전시가 개최된다.
특히, 재능기부로 참여한 배우 류준열의 감성적인 해설(나레이션)과 작곡가 양방언의 섬세한 음악의 조화 속에서, 높이 5미터에 달하는 대형 3면 영상에 낮과 밤, 눈·비 등 시간과 날씨의 변화를 구현하여 관람객의 몰입감을 높였다.

한편, 이번 전시는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국외 문화유산을 대상으로 추진한 최초의 디지털 콘텐츠 제작사업이면서, 우리나라와 미국이 함께 그 가치를 공유하는 ‘K-공유유산’의 국내외 동시 활용 사례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
* K-공유유산 : 현지 상대국과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공유하는 우리 문화유산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이번 전시를 시작으로 나라 밖 우리 문화유산을 디지털 콘텐츠로 제작하고 국내와 현지 모두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며, 앞으로도 그 가치를 세계 속에서 널리 알리고 함께 공유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다.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A; Administrator: Choi Eung-chon) and the Overseas Korean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OKCHF; Chair: Kim Jung-hee) are presenting a special exhibition entitled Into the Seven Jeweled Mountain: An Immersive Experience based on the ten-panel fold screen Seven Jeweled Mountain in the collection of the Cleveland Museum of Art (CMA; Director: William Griswold) in the U.S. The exhibition will be held in both the Special Exhibition Gallery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March 15–May 26) and the Cleveland Museum of Art (March 15–September 29).

*Seven Jeweled Mountain: A ten-panel fold screen depicting the Seven Jeweled Mountain (Chilbosan in Korean) area on silk using ink and light colors (produced in the nineteenth century)
Dimensions: 185.2×460.0 cm (overall), 42.9×158.2 cm (each panel)

The ten-panel fold screen Seven Jeweled Mountain in the collection of the Cleveland Museum of Art in the U.S. depicts a view of the Seven Jeweled Mountain area in Myeongcheon, North Hamgyeong Province. Seven Jeweled Mountain earned fame as a scenic spot in Bukgwan (present-day Hamgyeong Province) after Im Hyeong-su (1514–1547), an assistant prefect in Hoeryeong-bu, Hamgyeong Province, wrote “The Seven Jeweled Mountain Travelogue” (遊七寶山記) about his tour to the area in the March of 1542. This travelogue led to the popularization of artworks themed on the Seven Jeweled Mountain a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Cleveland screen is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by an anonymous painter in the nineteenth century during the Joseon period.

* The Seven Jeweled Mountain Travelogue: This travelogue is included in Posthumous Works of Geumho (錦湖遺稿),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by Im Hyeong-su (sobriquet: Geumho) who served as a civil official in the early Joseon perio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records in detail the motivation behind Im’s trip, the people who accompanied him, the itinerary, and explanations and impressions of scenic spots on Seven Jeweled Mountain. It inspired a tradition of excursions to the mountain by naming its scenic spots

The screen Seven Jeweled Mountain is a large-scale folding screen depicting a view of Seven Jeweled Mountain with meticulous brushwork across ten joined panels. This format of using joined panels to create a single picture plane (yeonpok) was popular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inscription (hwaje) in the upper section of the first panel relates the origin of the name Seven Jeweled Mountain. The names found throughout the peaks and rocks indicate scenic spots on Seven Jeweled Mountain, including Gaesimsa Temple, Hoesangdae Terrace, and Geumganggul Cave.

* Yeonpok: A format using an entire folding screen for a single composition. The lack of wooden frames dividing the screen panels gives the effect of a long horizontal canvas.
**Hwaje: The term refers to inscriptions written on paintings, including poems. The hwaje on the Ten-Fold Screen of the Seven Jeweled Mountain at the Cleveland Museum of Art document the introduction of Seven Jeweled Mountain contained in Collected Writings by Yakcheon (藥泉集) by Nam Gu-man(南九萬, 1629~1711)

The exhibition is timed to open in the Special Exhibition Gallery on the second floor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on March 15, the day Im Hyeong-su, the author of “The Seven Jeweled Mountain Travelogue,” embarked on a journey to the mountain to provide visitors with an opportunity to trace his experience. The exhibition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is comprised of a digital rendering of the folding screen with a zoom function for key scenic spots and 3D views of selected Korean cultural heritage items in the Cleveland Museum of Art collection. The exhibition at the Cleveland Museum of Art will present the folding screen together with a digital immersive experience.
The exhibition will enhance viewer immersion through a large three-screen display five meters in height presenting changes in the time and weather of scenes, such as their appearance at night and in the day or in snow and rain. It strikes a harmony with impassioned voice-over narration by actor Ryu Jun-yeol and delicate music composed by Yang Bang-ean.

This exhibition is particularly meaningful as the first digital content project promoted by the CHA and OKCHF based on overseas Korean cultural heritage. Furthermore, it provides an example of the K-shared heritage that shares the value simultaneously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K-shared heritage: Overseas Korean cultural heritage that share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with another country.

Starting with this exhibition, the CHA and OKCHF will do their utmost to support the creation of digital content focusing on Korean cultural heritage housed abroad and utilize it globally. The two organizations will continue to work tirelessly to share and promote the value of overseas Korean cultural heritage with a wider world.


 

칠보산도병풍

< 칠보산도병풍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제협력과 백현민 사무관(☎042-481-4734), 국립고궁박물관 전시홍보과 이종숙 연구관(☎02-3701-7631)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