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문화재 기고

제목
문화재의 뒤안길⑧-조선왕조실록(서울경제, '19.8.30)
작성자
정제규
게재일
2019-08-30
주관부서
대변인실
조회수
723

문화재의 뒤안길 ⑧ (서울경제, '19.8.30)

조선왕조실록



2019.6.26.새롭게 발굴 지정된 국보 제151-4호 조선왕조실록 적상산사고본(광해군일기).jpg

2019년 6월 국보 제151-4호로 추가 지정된 조선왕조실록 적상산사고본 중 광해군일기



조선왕조실록은 우리 기록문화를 대표하는 문화유산이다.

6월 조선왕조실록의 문화재 ‘추가’ 지정이 이루어졌다. 정족산사고본의 누락본 7책 등 96책이 국보로 추가 지정됐다.

전주사고본과 정족산본 1,181책과 태백산본 848책은 실록의 수난과정을 상징한다.


실록은 만들어진 후 춘추관을 비롯한 충주·성주·전주의 4대 사고(史庫)에 봉안됐으나 임진왜란으로 전주를 제외한 사고가 모두 불타버렸다.

이후 1603년부터 다시 간행해 전주사고에 있던 원본은 강화 마니산에, 교정본은 오대산에, 다시 간행된 3부의 새 책은 춘추관 및 태백산, 묘향산 즉 오대사고(五大史庫)에 나눠 봉안했다. 이 중 마니산본은 후에 정족산으로, 묘향산본은 무주 적상산으로 옮겼다.

이러면서 원본 실록과 같은 1권 1책이 아닌 더러는 2~3권을 1책으로 장책하는 숫자 차이가 생겼다.


최근 확인된 조선왕조실록 96책은 임진왜란 이후의 수난을 상징한다. 일제 침탈 이후 정족산사고본과 태백산사고본은 조선총독부로, 적상산사고본은 구황실 장서각에 이관됐고 오대산사고본은 일본으로 강제 반출됐다가 1923년 관동대지진 때 대부분 불탔다.


다행인 것은 새롭게 확인된 조선왕조실록이 훼손으로 상실됐던 실록의 완전성을 회복했다는 점이다.

실록을 설명하는 많은 수치는 우리 역사상 계속됐던 수난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실록의 정체성을 다시 찾는 노력의 성과이기도 하다.



첨부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