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트위터 페이스북
제목
어린이와 청소년의 국가유산 접근성 높이는 누리집 전면 개편 및 지식e음 연구자료 공개
작성일
2023-12-01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198

어린이와 청소년의 국가유산 접근성 높이는 누리집 전면 개편 및 지식e음 연구자료 공개 문화재청이 어린이와 청소년의 문화유산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문화재청 어린이 청소년 누리집 개편과 교과서에 수록된 국가유산 자료를 지식e음에 공개한다. 문화재청은 앞으로 고품질의 국가유산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여 교육 현장의 수요를 충족한다는 의지를 밝혔다.

문화재청, ‘어린이·청소년 누리집’ 접근성 높여 새 단장 완료

문화재청은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문화유산 교육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문화재청 어린이·청소년 누리집(kids.cha.go.kr)’을 전면 개편하고 지난 11월 6일부터 선보였다. 문화재청 어린이 청소년 누리집은 문화재청이 미래세대인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우리 국가유산의 가치와 의미를 더욱 흥미롭고 알기 쉽게 전하기 위해 운영해 오고 있다. 특히 초·중·고등학교의 국가유산 관련 수업에서 활발히 활용되는 등 국가유산 교육의 대표 누리집으로 역할을 해왔다. 올 한 해만 51만여 명이 방문하여 223만여 건의 쪽보기(페이지뷰)를 기록(9월 말 기준)했다.


모바일 기기에 최적화된 화면과 메뉴 적용, 각종 교육·영상 자료 등 연동

올해에는 국가유산 체제로 전환과 빠르게 변화하는 교육 흐름에 발맞춰 어린이·청소년 이용자의 접근 편의성을 대폭 개선하고자 누리집을 전면 개편했다. ▲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지능형(스마트) 기기를 활발히 활용하는 어린이·청소년의 특성에 맞춰 누리집의 화면과 메뉴의 최적화 ▲ 국립고궁박물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등 문화재청 소속기관에서 운영하는 어린이·청소년 대상 체험행사와 교육 프로그램 관련 내용을 쉽게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도록 연동 ▲ 문화재청이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최영창)과 운영 중인 ‘문화유산채널’ 누리집www.k-heritage.tv/)의 교과과정 영상(247건)도 고품질로 감상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문화유산 방문학교·체험교실’, ‘학교문화유산교육 우수사례 사업’ 등 문화재청에서 매년 운영 중인 국가유산 교육 정보도 살펴볼 수 있어 일선 교육 현장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00,01.국립문화재연구원 소장 자료 <미륵사지석탑> 02,03.국립문화재연구원 소장 자료 <천마총 발굴 과정>03,04.국립문화재연구원 소장 자료 <공주 무령왕릉>

교과서 속 문화유산 지식e음에서 찾는다

문화재청은 고품질의 연구기록물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국립문화재연구원이 보유한 자료를 지속해서 공개 중이다. 문화재청은 국립문화재연구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연구기록물 200선을 초·중·고등 학습 자료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문화유산 지식e음 누리집(portal.nrich.go.kr)에 공개한다.


이번에 공개되는 자료는 현장감 있는 맞춤교육이 될 수 있도록 초·중·고등 교과서(사회, 역사) 21종 21권에 수록되어 있는 국가유산과 연관된 연구원 소장 사진 자료로 전·현직 교사, 교과서 집필진 등의 의견 수렴과 자문회의를 거쳐 과정별·단원별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올해 발굴 50주년을 맞은 신라 고분 ‘천마총’의 발굴 현장과 같이 평소 일반인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웠던 국가유산의 조사연구 현장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자료뿐 아니라, 당시 천마총과 함께 발굴된 ‘천마도’, ‘익산 미륵사지 석탑’,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보은 법주사 팔상전’, ‘서울 원각사지 삼층석탑’ 등의 사진 자료를 통해 실제 학교에서 배우는 국가유산1)을 한층 깊이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당 자료는 문화유산 지식e음 누리집 하단의 ‘서비스 바로가기-교과서 속 국가유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제공되는 자료는 공공누리 1유형 공공누리 1유형2)으로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정책’에 따라 별도의 이용 허락 없이 누구나 자유롭게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다.


1) (초등 2종 2권) 사회 5-2, 사회과부도 / (중등 9종 9권) 역사 2, 역사부도 / (고등 10종 10권) 한국사, 역사부도
2) 공공누리 1유형: 출처 표시 후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 가능




자료. 정보화담당관, 국립문화재연구원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