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트위터 페이스북
제목
지명에 어린 우리말의 향기 구리시 배탈고개에 있는 아름마을
작성일
2015-06-01
작성자
문화재청
조회수
5564

지명에 어린 우리말의 향기 구리시 배탈고개에 있는 아름마을. 우리 동네는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아름마을이다. 주소도 인창동 OO번지 아름마을이다. 집 앞 버스 정류장 이름은 배탈고개이다. 사람들이 어디에 사느냐고 물어올 때 아름마을에 산다고 하면 아름마을이 어디에 있느냐고 다시 묻는다. 그래서 배탈고개에 있다고 하면‘배탈고개?’하며 묘한 미소를 짓고 고개를 갸우뚱한다. ‘배服가탈이난고개’라는 의미로 이해 된다는 것이다. 또 어떤이는‘배탈’이란 용어가 민망했던지‘베틀고개’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러다가는 또 하나의 설화를 창출할지도 모르겠다.

 

그래서인지 버스정류장에 마을 이름 유래가 적힌 비석이 서 있다. 옛날 홍수가 났을 때 이곳까지 물이 차서 사람들이 배를 타고 다녔기 때문에 배탈고개라고 했다는 내용이다. 재미있는 설화다.

사실 지명에 얽힌 재미있는 이야기가 상당히 많다. 특히 자기가 살고 있는 지역의 지명에 대해 안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우선 구리九里를 해석한 통설을 본다. 첫째 본래 구지면九旨面이 있었는데 이 ‘구지九旨’의 ‘구’와‘망우리忘憂里’의 ‘리’를 합쳐서‘구리’라고 했다는 설이 있다. 둘째 아홉개 마을로 이루어진 곳이어서‘구리九里’라고 했다는 설이 있다. 셋째 ‘고지(串)’가 형태 변화를 거쳐 ‘구리’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 쉽게 수긍할 수 없는 해석들이다.

이제 진정한 의미를 알고자 어원부터 살펴본다. ‘구지’는‘九旨’라고 표기하지만 ‘旨(東輿圖)’로도 표기한다. 이로 보아‘구’는 ‘九’나 ‘龜’의 의미와는 무관함을 알 수 있다. 단적으로 말하면 ‘구리’와 ‘구지’의 어원은 같다. 즉 이 말은 ‘구디’에서 비롯된 것이다. ‘구디’가 구개음화를 이루면 ‘구지’가 되고 유음화를 이루면 ‘구리’가 되는 것이다.

이에‘구디’의 의미를 살펴본다. 이 지역은 고구려어, 백제어, 신라어가 공존하는 곳이다. 그런데 이 ‘구디’는 백제어이다. ‘구디’는‘굳다’ 어간에‘이’ 접미사가 붙어서 이루어진 말이다. 즉 ‘굳+이’→‘굳이’→‘구디’→‘구지’, ‘구리’로 변한 말인 것이다. ‘굳’은‘굳고 단단함(堅, 强, 硬)’, ‘쇠(金)’등의 의미를 지니는 어휘인 것이다. 이로 보아‘구리’는 ‘거석巨石’이든‘신성물’이든‘굳’의 의미를 지닌 존재와 관련을 맺고 성립되어 전해져 오는 지명인 것이다.

01. 옛 지명을 확인할 수 있는 고지도. 02. 마을 이름 유래가 적힌 비석이 있는 배탈고개 버스정류장. 옛날 홍수가 났을 때 이곳까지 물이 차서 사람들이 배를 타고 다녔기 때문에 배탈고개라고 했다는 내용이다. 03. 아름마을 방향을 안내하는 이정표.‘.아름’은 높지는 않으나 주변에 비해 둥그스름하게 오른곳을 의미하는 것으로,‘아름’과‘배탈’은 동일한 의미를 지닌 지명이다.

이번에는 ‘아름마을’과 ‘배탈고개’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직까지 ‘아름마을’에 대한 설화를 듣지 못했다. 왜 그럴까. 이와 관련된 재미있는 설화를 만들어 내지 못해서일까? 아마도 그것은 ‘아름’과 ‘배탈’은 동일한 의미를 지닌 지명이기 때문일 것이다. ‘배탈’은 ‘배’와 ‘알’이 합성된 뒤 어형의 변화로 이루어진 지명이고, ‘아름’도 ‘아람(알+아+ㅁ) ’이 변한 것이다. ‘배’나 ‘알’은 지명등을 포함한 여러 명사에서 그 용례를 찾을 수 있다. ‘배(舟, 梨,服)’, ‘배고(꼬)지(梨花里, 김포시)’, ‘배알머리(하남시)’, ‘알영부인(삼국유사)’,‘알영정(경주)’, ‘ 아람(잘 익어 떨어질 때가 된 밤이나 상수리)’, ‘알밤’, ‘아름드리나무’, ‘한아름’, ‘알卵’, ‘눈알’, ‘콩알’, ‘알 밴 다리’, ‘알 밴 칡(葛)’, ‘알차다’, 그리고 혁거세와 주몽 탄생설화등을 비롯한 많은 난생 설화의‘알’ 등등 그저 생각나는 단어만도 꽤 여럿이다. 이들 단어들은 공통적으로‘배’나‘알’을 가지고 있다. ‘배’는 ‘배舟’나 ‘배腹’의 외형에서도 바로 확인할 수 있듯이 중심 부분이 봉긋하게 나왔다는 것이다. 땅이 봉긋하게 나오면‘배’라고 부른다. 이보다 더 오른 땅이면 ‘언덕’이 되고 ‘고개’가 되며 ‘재岾’가 되고 ‘현峴’이 된다. 또 더 높으면 ‘치峙’가 되고 ‘영嶺’이 된다.

그리고 ‘고지(꼬지, 꽂, 꽃)’는 ‘곶串’으로도 표기하며 평평한 지형에 돌출한 지형을 이를 때 쓰는 말이다. 장산곶, 갑곶, 장곶(강화) 독곶(서산), 석관동(돌꼬지, 돌꽂이), 호미곶(포항) 등이 그 예라 하겠다. 그러므로 ‘배고지(꼬지)’와 ‘돌꽂이’는 실제 ‘배꽃(梨花)’이나 ‘돌을 꽂은(石串)’이라는 의미와 관계가 없는‘봉긋한 땅이 평평한 곳(평야 또는 바다)으로 돌출한 지명’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구리’에는 ‘곶串’의 의미가 없다.

이제 ‘알’에 대해서 살펴보자. ‘알’은 외형은 ‘둥글고(圓)’속에는 ‘핵核’이 있다. 그러므로 배알머리는 봉긋한 땅이라는‘배’와 둥글게 이루어진 땅이라는 ‘알’, 그리고 ‘머리(入口), 정점頂點’이 합성된 지명임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볼 때‘아름마을’은 높지는 않으나 주변에 비해 둥그스름하게 오른 곳에 자리한 마을이고, ‘배탈고개’도 높지는 않지만 평평한 주변 지형보다는 봉긋하게 오른 고개라는 의미가 된다.

 

독자참여 안내,[문화재 사랑과 만나다] 코너는 독자 여러분이 만드는 코너입니다. 여행에서 만난 문화재, 내가 가장 사랑하는 문화재, 우리 역사의 흐름을 알 수 있었던 박물관 등 문화재와 관련된 독자 여러분의 기고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정해진 주제는 없으며 문화재에 관한 소중한 이야기, 나누고 싶은 이야기를 언제든지 보내주시면, 기쁜 마음으로 지면에 싣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양식에 맞는 원고와 사진을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와 함께 보내주세요. · 원고분량 : A4용지 기준 1장(10pt) · 사진 : 해당 여행 관련 사진 5매 이상 · 보내실 곳 : 문화재청 대변인실 김수현(nicosia@korea.kr)

 

글.사진. 박창원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