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국영문 동시배포) 400여 년 전 류성룡 일상이 담긴 <대통력>의 귀환
등록일
2022-11-24
주관부서
국제협력과
작성자
문화재청
조회수
3510

일본 소재 한국문화재, 경자년(1600년)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 첫 공개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11월 24일 오전 10시 30분 국립고궁박물관(서울 종로구)에서 일본에서 환수한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경자>(柳成龍備忘記入大統曆<庚子>)》(이하 대통력)를 언론에 공개한다.
대통력은 오늘날의 달력에 해당하는 조선시대의 책력(冊曆)으로 농사 뿐 아니라 일상생활의 지침으로 활용되어 왔으며, 이번에 환수한 유물은 경자년(1600년)의 대통력이다.
이번 유물은 김문경 교토대학 명예교수의 제보를 통해 그 존재가 알려졌으며,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김정희)은 정보 입수 이후 수차례 면밀한 조사를 거쳐 지난 9월 국내로 들여오는 데 성공했다.
※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경자> : 1599년 간행(금속활자본) / 크기: 전체 38×20cm
* 책력 : 천체를 관측하여 해와 달의 운행과 절기 따위를 적은 책

  소장자는 책력에 자신의 일정이나 감상을 적어두는데, 이번 유물도 그 여백에 묵서(墨書)와 주서(朱書)로 그날의 날씨, 일정, 약속, 병세와 처방 등이 기록되어 있다. 기재된 필적과 주로 언급되는 인물, 사건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서애 류성룡(柳成龍, 1542~1607)의 문집인 「서애집」 중 류성룡의 연대기가 기록된「서애선생연보(西厓先生年譜)」와 내용을 대조해 본 결과, 서애 류성룡의 수택본(手澤本)으로 추정된다.
* 수택본 : 소장자가 가까이 놓고 자주 이용하여 손때가 묻은 책
* 묵서 : 먹물로 쓴 글씨
* 주서 : 붉은색 글씨

  임진왜란기 군사 전략가로서 활약한 서애 류성룡 선생의 기록이자 「서애선생연보」에서 다뤄지지 않은 내용을 포함한 기록이라는 가치 외에도 ▲ 국내 현전하지 않는 경자년(1600년) 대통력이라는 점, ▲ 임진왜란 시 포로가 되어 일본에 압송되었던 강항(姜杭, 1567~1618)의 귀국 등 경자년에 있었던 역사적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 가철(假綴)된 표지에는 임진왜란기 충무공 이순신(李舜臣, 1545~1598) 장군이 부하 장수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직접 출전하여 전쟁을 독려하다가 탄환을 맞고 전사한 상황을 묘사한 기록도 담겨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사료적 가치를 더한다.
* 가철(假綴) : 책의 원표지가 없어 종이 등을 사용해 임시로 매어둔 형태

  이번 환수는 류성룡 선생의 종손가 소장 자료들인 보물 「유성룡 종가 문적」에도 빠져있던 새로운 자료를 발굴해 찾아왔다는 점에서 더욱 뜻깊으며, 향후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안전하게 보존관리하면서 조선시대 과학문화재들과 함께 류성룡 관련 원천 자료로서 연구·전시 등에 폭넓게 활용할 예정이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이번 환수문화재 공개가 조선시대 기록문화 유산에 대한 관심과 자긍심을 고취하는 기회가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국외 중요 한국문화재의 발굴과 환수를 위해 현지 협력망 확대 등의 적극행정을 이어갈 계획이다.
※ 국외소재문화재 매입사업은 복권기금으로 추진되었습니다.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A; Administrator: Choi Eung Chon) will unveil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located in Jongno-gu, Seoul) on November 24 at 10:30 a.m Calendrical Book of the Gyeongja Year (1600) with Memoranda by RyuSeong-ryong that was acquired in Japan.
The existence of the book was made known by Professor Emeritus Kim Moon-kyong of Kyoto University. Upon obtaining the information, the CHA and the Overseas Korean Cultural Foundation (OKCHF; Chairman: Kim Junghee) carried out several thorough surveys and eventually succeeded in its repatriation this past September.

*Calendrical Book of the Gyeongja Year (1600) with Memoranda by RyuSeong-ryong: A metal-type printed book published in 1599 / Dimensions: 38×20cm (overall)

  The returned item is an example of a daetongnyeok, a type of almanac from the Joseon Dynasty that shows similarities with the calendar used today. These calendrical books were used as guidelines for daily life and farming. They were kept handy by their owners, who added notes about their daily schedules along with their thoughts and impressions. The margins of the returned item are inscribed with handwritten ink notes on the weather, the owner’s schedule, appointments, illnesses, and medical prescrip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handwriting and on information such as the names of figures and events mentioned, the book was compared with content from A Chronology of RyuSeong-ryong (Seoaeseonaesngyeonbo). The results of this comparison suggest that the returned item is a sutaekbon* that belonged to RyuSeong-ryong (1542– 1607; sobriquet: Seoae).
*Sutaekbon: A book that was kept handy by its owner and used frequently

  The returned calendrical book is presumed to have belonged to RyuSeong-ryong. It is highly regarded for its value as cultural heritage in that it allows a better understanding of his life and times. It also features details of an event involving Admiral Yi Sun-si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No other calendrical book on this Gyeongja year (the thirty-seventh year in the sexagenary cycle; 1600) has survived in Korea.

  This book is particularly notable since along with the content related to Ryu that is not included in A Chronology of RyuSeong-ryong, it provides data on historical facts that occurred in the Gyeongja year (1600). These include the return of Kang Hang (1567–1618), who had been captured and sent to Japa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and the passing of Queen Uiin, the consort of King Seonjo. In particular, the book carries further historical value in that the cover, which has been temporarily bound since the original cover has been lost, features a detailed record of Admiral Yi Sun-sin (1545–1598) and how he died from a gunshot wound on the battlefiel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t describes how he decided to fight personally as a means to encourage his soldiers, despite the dissuasion of his subordinates.

  The calendrical book will hereafter be managed by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nd is expected to be widely utilized for research and exhibition along with other scientific cultural heritage items dating to the Joseon Dynasty housed in the museum. It is particularly meaningful in that it represents a discovery and repatriation of new materials that were missing from the state-registered Treasure “Documents of RyuSeong-ryong’s Family.” Moreover, the item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search and utilization as a primary resource related to RyuSeong-ryong.

  The CHA and OKCHF hope that the repatriation and unveiling of the calendar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inspire interest and pride among the public in Joseon-era recorded cultural heritage. The two institutions plan to continue their strenuous efforts searching for and repatriating Korean cultural heritage in overseas collection through efforts for proactive administration and the expansion of local cooperative networks.

※The acquisition of the item was made possible by the National Lottery Fund.


사진1_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경자 표지.jpg

< 유성룡비망기입대통력경자 표지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제협력과 김병연 사무관(☎042-481-4734), 강정윤 주무관(☎042-481-4735)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