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국영문 동시 배포) ‘떡 만들기’ 국가무형문화재 신규종목 지정
등록일
2021-11-01
주관부서
무형문화재과
작성자
문화재청
조회수
2501

- 떡을 만들고 나누어 먹는 전통적 생활관습까지 포함 시킨 ‘만들기 문화’ 가 대상 -


- 보유자·보유단체 없이 종목만 지정 -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떡 만들기’를 신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한다. 지정 대상은 떡을 만들고, 나누어 먹는 전통적 생활관습까지를 포괄한 것이다.


  떡은 곡식가루를 시루에 안쳐 찌거나, 쪄서 치거나, 물에 삶거나, 혹은 기름에 지져서 굽거나, 빚어서 찌는 음식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일생의례(백일·돌·혼례·상장례·제례)를 비롯하여 주요 절기 및 명절(설날·정월대보름·단오·추석)에 다양한 떡을 만들고 나누어 먹었다.
 

  또한, 떡은 한 해 마을의 안녕을 비는 마을신앙 의례, 상달고사 등 가정신앙 의례, 별신굿과 진오귀굿 등 각종 굿 의례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제물(祭物)이다. 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개업떡·이사떡 등을 만들어서 이웃 간에 나누는 문화가 지속적으로 유지·전승되고 있다.
 * 상달고사: 음력 10월 길일(吉日)을 택하여 집안의 터주, 성주(城主), 삼신 등의 가신(家神)에게 올리는 제사. 그 해 수확에 감사하며 햇곡식과 햇과일로 마련한 제물을 올리며 시루떡을 만들어 이웃과 나누어 먹음.
 * 별신굿: 무당이 제사하는 큰 규모의 마을굿
 * 진오귀굿: 죽은 이의 한(恨)을 씻기고 좋은 곳으로 보내기 위해 망자의 가족이 무당을
               불러 벌이는 굿으로 씻김굿과 같은 말임.


   이처럼 떡은 한국인이 일생동안 거치는 각종 의례와 행사 때마다 만들어서 사회구성원들과 함께 나누어 먹는 음식으로 ‘나눔과 배려’, ‘정(情)을 주고받는 문화’의 상징이며, 공동체 구성원 간의 화합을 매개하는 특별한 음식이다. 또한 의례별로 사용되는 떡은 상징적 의미가 깃들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무형적 자산이다.
  우리나라에서 언제부터 떡을 만들어 먹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청동기·철기 시대 유적에서 시루가 발견된 점, 황해도 안악 3호분 벽화의 부엌에 시루가 그려진 점을 미루어 고대에도 떡을 만들어 먹었다고 추정된다.『삼국사기(三國史記)』에서 떡을 뜻하는 글자인 ‘병(餠)’이 구체적으로 확인되고,『고려사(高麗史)』를 비롯하여 이규보(李奎報)의『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이색(李穡)의『목은집(牧隱集)』등 각종 문헌에서 떡을 만들어 먹은 내용이 구체적으로 확인된다. 조선 시대에는 농업 기술이 발달하고, 조리가공법이 발전하면서 떡 재료와 빚는 방법이 다양화되어 각종 의례에 떡의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특히, 궁중과 반가(班家)를 중심으로 떡의 종류와 맛이 한층 다양해지고 화려해졌다.『산가요록(山家要錄)』,『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규합총서(閨閤叢書)』,『음식디미방』등에서 다양한 떡의 이름과 만드는 방법을 찾아볼 수 있고, 각종 고문헌에 기록된 떡이 200종이 넘을 정도로 다양하다.


  한국 의례음식의 대표적인 떡은 각종 의례에서 다양한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일례로, 백일상에 올리는 백설기는 예로부터 깨끗하고 신성한 음식이라 여겨 아이가 밝고 순진무구하게 자라길 바라는 염원을 담았고, 팥수수경단은 귀신이 붉은색을 꺼린다는 속설에 따라 아이의 생(生)에 있을 액(厄)을 미리 막기 위하여 올렸다. 백일잔치 이후에는 떡을 백 집에 나누어 먹어야 아이가 무병장수(無病長壽)하고 복(福)을 받는다는 속설에 따라 되도록 많은 이웃과 떡을 나누어 먹었다.
 

  전통 혼례 시 납폐(納幣) 때 신랑이 신부 집에 함을 가지고 오면 그 함을 ‘봉치시루’에 올리는데, 이 때 봉치시루 안에 붉은 팥시루떡이 담겨 있었다. 이 떡을 ‘봉치떡(봉채떡)’이라고 부르며, 봉치떡은 양가의 화합과 혼인을 축복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이외에도 회갑상과 제례에 올리는 ‘고임떡’은 각각 부모님 생신을 축하하고 만수무강(萬壽無疆)을 축원하고, 돌아가신 조상의 은덕(恩德)을 기리고 그 예를 다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 납폐: 폐백(幣帛)을 보낸다는 뜻으로 신부집에 혼인 허락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신부용 혼수와 혼서(예장), 물목을 함에 넣어 보내는 절차로써 ‘봉채(봉치)’ 또는 ‘함’이라고 함.
  * 고임떡: 높이 괴어 올린 떡


  1월 정초(正初)는 새로운 1년이 시작되는 때로 이 때 떡국을 먹으면 한 살 더 먹는다고 여겼고, 추석 때 먹는 송편은 햇곡식으로 빚은 떡으로 조상께 감사하는 의미로 조상의 차례상과 묘소에 올렸다. 특히 송편은 지역별로 다양하게 발달하여 감자송편, 무송편, 모시잎송편 등이 있으며 예부터 처녀들이 송편을 예쁘게 빚으면 좋은 신랑을 만나고 임산부가 송편을 예쁘게 빚으면 예쁜 딸을 낳는다고 하여 송편 빚기에 정성을 다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떡은 지역별 지리적 특성을 반영한 산물을 재료로 활용하고 있다. 강원도는 감자와 옥수수의 생산이 많아 ‘감자시루떡’·‘찰옥수수시루떡’ 등이 전승되고 있고,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섬인 제주도는 예로부터 쌀이 귀하고 잡곡이 많이 생산되어 떡 재료로 팥·메밀·조 등이 재료로 활용되어 ‘오메기떡’·‘빙떡’·‘차좁쌀떡’ 등이 전승되고 있다.


  19세기 말 서양식 식문화 도입으로 인해 우리 고유의 식생활에 변화가 생겼고, 떡 만들기 문화도 일부 축소되었다. 또한 떡 방앗간의 증가로 떡 만들기가 분업화되고 떡의 생산과 소비 주체가 분리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다양한 떡이 지역별로 전승되고 있으며, 의례, 세시음식으로 활용하고 이웃과 나누는 문화가 그 명맥을 잇고 있다.


  이처럼 ‘떡 만들기’는 ▲ 오랜 역사를 가지고 한반도 전역에서 전승·향유되고 있다는 점, ▲ 삼국 시대부터 각종 고문헌에서 떡 제조방법 관련 기록이 확인되는 점, ▲ 식품영양학, 민속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학술연구 자료로서의 가능성이 높다는 점, ▲ 지역별 지리적 특성을 활용한 다양한 떡의 제조가 활발하고, 지역별 떡의 특색이 뚜렷한 점, ▲ 현재에도 생산 주체, 연구 기관, 일반 가정 등 다양한 전승 공동체를 통하여 떡을 만드는 전통지식이 전승·유지되고 있는 점에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할 가치가 있다고 평가받았다.


  다만, ‘떡 만들기’는 한반도 전역에서 온 국민이 전승·향유하고 있는 문화라는 점에서 이미 지정된 ‘김치 담그기’, ‘장 담그기’ 등과 같이 특정 보유자나 보유단체는 인정하지 않았다.
  * 특정한 보유자나 보유단체를 인정하지 않고 지정한 국가무형문화재 현황(총 12건)
   : 아리랑, 제다, 씨름, 해녀, 김치 담그기, 제염, 온돌문화, 장(醬) 담그기, 전통어로방식–어살, 활쏘기, 인삼재배와 약용문화, 막걸리 빚기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국가무형문화재의 신규종목 지정을 통해 보호 대상을 확대하여 우리의 전통문화가 후세에 전승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Tteok Making’ To Becom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will recognize the making and sharing tteok, rice cake, as traditional culture and way of life
-No specific group or person will be acknowledged, just like ‘kimchi making’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dministrator Kim Hyun-mo) plans to designate the making of Tteok, Korean rice cake, as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designation will recognize the making and sharing of Korean rice cake as traditional culture and way of life.
 

Koreans have made tteok by steaming grain flours in siru, the traditional steamer, boiling or baking,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rice cake. From a long time ago, they have enjoyed making and sharing with others different kinds of tteok for major milestones in their lives and important national holidays.


Historically, rice cake has been a key offering at various rituals in Korea. They include rites held for village gods wishing for peace and prosperity as well as similar rites held for house gods like sangdalgosa. Rice cake is also offered at gut rituals held by traditional shamans. In modern-day Korea, people distribute rice cake among others in their community when they open a business or move into a new place.


More on rites and gut rituals;
*sangdalgosa: Rite people hold on an auspicious day in October for house gods. People offer newly harvested grains and fruits and prepare sirutteok(steamed rice cake), sharing it with neighbors.
*byeolsingut: Large-scale gut ritual held by shamans in villages
*jinogwigut: Gut ritual aimed at cleansing the spirit of the deceased person so that he or she may cross over to the world of the dead. Also called ssitgimgut.


Tteok, in that sense, is more than just a tasty delicacy. Given that Koreans distributed rice cake among others in their community in every special moment of their lives, it can be considered an embodiment of sharing and generosity, as well as a symbol of the unique Korean concept of jeong, or a deep connection, and harmony.


It is also notable how different types of rice cake were made for different occasions and how each had a story of its own. This makes tteok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t people need to learn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Korean culture.


It is unclear since when Koreans made rice cake. However, archaeological findings show that Koreans ate rice cake since the ancient times. Siru, the traditional steamer, has been unearthed in historic sites of the Bronze Age and Iron Age. Siru can also be seen in the mural of fourth-century Anak Tomb No. 3 in South Hwanghae, North Korea.


Furthermore, a Chinese character, 餠, that means rice cake can be found in Samguksagi, or a historical record of the Three Kingdoms of Korea written in the 12th century. That people cooked rice cake can also be found in various historical documents like the 13th-century literary collection of Donggukisanggukjip written by Lee Gyu-bo; and the 14th-century literary collection of Mokeunjib written by Lee Saek.


During the Joseon Dynasty (1392-1910) that followed, agricultural technology developed and food processing techniques also made strides. As a result, ingredients and recipes for making rice cakes became much more diverse. In particular, cooks at royal palaces and noble households were at the forefront of introducing new flavors and types. New names of tteok and recipes can be found in various food, farming or housekeeping
documents like Sangayorok; Jeungbosanrimkyungje; Gyuhapchongseo; and Eumsikdimibang. More than 200 different types of rice cake can be found in various historical documents.


Different types of rice cake are made and shared on different occasions. For instance, parents have traditionally prepared baekseolgi(white steamed rice cake) for their baby’s 100th-day celebrations. The type is traditionally considered pure and sacred and Korean parents have wished through the rice cake that the baby will grow up innocent and bright. They also prepared patsusugyeongdan (sorghum ball cake made of red beans) to prevent bad luck in the baby’s life, based on the folklore that ghosts shun the color red. A common traditional saying also encourages parents to share the 100th-day rice cake with 100 households to ensure the baby of a long, healthy life.


In traditional Korean weddings, it is customary that the bridegroom sends to the bride’s house before the wedding a wedding box, called ham in Korean. The bride’s family is supposed to place the box on top of a steamer that contains red ppatsiru (layered rice cake with red beans). This type of rice cake, also known as bongchitteok or bongchaetteok, stands for a wish for the harmony between two households and a blessing of the matrimony.


There is also goimtteok, which is prepared for both for a person’s 60th birthday celebration and jerye, the rite for remembering ancestors. It represents a wish for long, healthy life and commemorating ancestors’ virtues, respectively.


Koreans have also traditionally enjoyed tteokguk (soup made with white rice cake pieces) on the New Year’s Day for a clean start to a New Year. And they prepared songpyeon (half-moon shaped rice cakes) with newly harvested grains when they pay their respects at their ancestors’ tombs during the Chuseok Holidays in the fall to thank them.


Songpyeon comes in various kinds depending on the region, like potato-filled songpyeon and white radish-filled songpyeon. There was also a saying that women who make pretty songpyeon will marry fine husbands and pregnant women who make pretty songpyeon will give birth to beautiful daughters.


It is also interesting to compare different types of rice cake in different regions and explore their origins. Gangwon-do province, for example, has always had ample supplies of potatoes and corns and thus the signature tteok from Gangwon are sirutteok made of potato and corn. Jeju-do Island, on the other hand, was scarce of rice and instead had plenty of grains. As a result Jeju’s famous rice cakes – namely omekitteok, bingtteok, chajopssaltteok – are made of red beans, buckwheat and millet.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ooking culture in the late 19th century brought many changes to the Korean cuisine and less Koreans are now making rice cake at homes. However, the number of rice cake mills increased, which led to the distinction between sellers and buyers of rice cake. Nonetheless, the tradition of sharing rice cake on special occasions is still very much a part of Korean lifestyle.


Therefore,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believes Tteok making should be recognized as a national heritage in its own right for following reasons; ▲it has a long history and has been passed down to present-day generation across the Korean peninsula; ▲there are many records of rice cake making in historical documents dating back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57 B.C.-A.D. 668); ▲it can be further explored academically in various fields like food and nutrition or folklore; ▲different regions have developed their own signature rice cake based on their climate and environment; ▲and even at present, various entities like rice cake mills, tradition study groups and simply average households are making rice cake, keeping the tradition very much alive.


However, the CHA decided it will not recognize a specific group or person in the designation, as it is a cultural tradition that all Koreans across the Korean peninsula are keeping, as was the case with ‘kimchi making.’


*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ems that do not recognize specific group or person (Total: 12 items):
Arirang (traditional folk song); Jeda (tea-making); Ssireum (Korean wrestling); Haenyeo (women divers); Kimchi Damgeugi (Kimchi making); Jeyeom (traditional salt making); Ondol (underfloor heating system); Jang Damgeugi  (Korean sauce and paste making); Traditional Fishing-Eosal (fishing weir); Hwalssoki (traditional archery); Insam jaebae and yakyong munhwa(cultivation of Ginseng and its medicinal application); Makgeolli bitki(Makgeolli making and sharing)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plans to continue to expand the scope of protection through the designation of new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o that our traditional culture can be passed down to future generations.


[크기변환]noname01.jpg

<찐 송편(성은 남이흥 종가)>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무형문화재과 이지은 사무관(☎042-481-4964), 이정화 주무관(☎042-481-4994)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