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문화재 기고

제목
문화재의 뒤안길(109)-제주 용천동굴 (서울경제, '21.10.18)
작성자
정승호
게재일
2021-10-18
주관부서
대변인실
조회수
1760

문화재의 뒤안길(109) (서울경제, '21.10.18)


용암이 빚은 신비의 지하공간 제주도 '용천동굴'

 

 

글/정승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22srxudfoz_1.jpg


지난 2005년 이곳 제주시 구좌읍 월정리 도로변의 전신주 교체작업 도중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던 지하공간이 발견됐다. 화산활동으로 형성된 용암동굴 내부에 석회동굴에서만 볼 수 있는 다양한 탄산염 생성물이 어우러진 독특한 세계였다.

 동굴 하류부에는 맑고 잔잔한 푸른 호수가 위치해 신비로움을 더하고 있는데, 민물과 바닷물이 층을 이루며 섞인 호수라 모래 둑으로 막힌 끝 부분이 바다와 연결돼 있음을 알 수 있다.

 

용이 살다 하늘로 승천한 동굴이란 의미의 ‘용천동굴’이다.

호수 구간 800m를 포함해 총길이는 3.4km이며, 거문오름(기생화산)에서 분출한 용암이 약 14km 떨어진 북서해안의 월정리 해변으로 흘러가면서 만든 용암동굴계의 일부다.

특히 용천동굴은 1만년~8000년 전 용암이 빚어 낸 용암종유와 용암석순, 용암폭포, 용암유선을 바탕으로, 탄산염 종유관과 종유석, 동굴진주와 동굴산호 등 형성과정이 전혀 다른 두 동굴의 특징이 복합적으로 발달하고 있어 국내외 동굴전문가들에게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용암동굴’로 알려져 있다.

과거 해안 모래층이 바람에 의해 용천동굴 상부 지표면으로 옮겨왔고, 조개껍질 등의 탄산염 성분이 빗물에 녹아 현무암 내 절리와 식물뿌리를 따라 내려앉으면서 다양한 동굴 생성물의 형성을 자극한 것이다.

동굴 안에서는 통일신라시대 토기 조각, 조개껍질, 횃불로 사용됐던 숯 등 8세기를 전후해 남겨진 당시 사람들의 흔적도 발견됐다.

그들은 왜 동굴에 들어갔는지, 유물의 용도는 무엇이었는지는 고고학적 과제로 남았다.

이처럼 제주 용천동굴은 그 학술적 중요성과 함께 경관적 가치가 높은 자연유산으로서 지난 2006년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더불어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의 일원으로 2007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에 등재됐다.





첨부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한승훈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