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잠정목록
    • 강진 도요지
    • 설악산천연보호구역
    • 남해안일대 공룡화석지
    • 염전
    • 서남해안 갯벌
    • 대곡천암각화군
    • 남한산성
    • 중부내륙산성군
    • 공주ㆍ부여역사유적지구
    • 익산역사유적지구
    • 외암마을
    • 낙안읍성
    • 우포늪
    • 한국의 서원
    • 한양도성

    염전

    전라남도는 한국 소금 생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전라남도 신안군에서 생산되는 소금은 소비시장에서 절대적인 우위에 있고, 영광군에서 생산되는 소금은 소금과 연관산업인 젓갈과 굴비 생산에 직접적으로 이용되므로 그 산업적 중요성이 매우 크다.

    염전

    이 지역의 천일염전은 역사적으로 조선시대부터 갯벌을 이용하여 바닷물을 끓여 만든 전오염(煎熬鹽) 방식이 성행하였던 지역에 19세기 조선시대 말기에 일본으로부터 천일염 소금 제조 방식이 전래되면서 유래되었으며, 예부터 염전이 발달할 수 있는 천혜의 조건을 지닌 곳에 천일염전이 분포하게 되었다. 특히 대한민국의 천일염전은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인 한국 서해안에 주로 분포하여 갯벌 천일염으로서 중요하다.

    한국 갯벌은 유기물 함량이 높고, 하구 갯벌에서 형성된 종 다양성이 있기 때문에 이곳에서 생산된 천일염은 칼슘, 칼륨, 마그네슘 등 미네랄 함유량이 풍부하다.

    염전은 어류 생산 및 서식의 기능, 오염 정화 기능, 심미적 기능, 홍수 조절을 하는 등 갯벌과 인간, 자연과 문화의 경계에 있다. 특히 국제 보호종인 도요물때새와 저어새 등 철새의 휴식공간이기도 하다. 염전이 지속됨으로 해서 갯벌과 바다를 살릴 수 있는 생태계의 지속, 경제적인 지속, 지역문화의 지속성이 유지되고 있다.

    다른 나라의 경우도 갯벌을 이용하여 천일염을 만드는 곳은 존재하나 갯벌과 햇볕, 바람이라는 자연환경의 조건과 인간의 독창성이 어우러져 지금까지 소금을 생산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크다.

    문화 유산적 가치

    갯벌을 이용한 소금의 생산은 갯벌의 화학적 조성 및 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독창적인 사례이다.

    등재기준 : 세계문화유산기준 (Ⅲ), (V)
    • (III)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가 돼야 한다.
    • (V) 특히 번복할 수 없는 변화의 영향으로 취약해졌을 때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이나 문화를 대변하는 전통적 정주지(定住地)나 육지의 사용, 바다의 사용을 예증하는 대표적 사례여야 한다.
    • ○ 잠정목록 등재: 2010년 1월 11일
    목록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디지털문화유산팀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