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트위터 페이스북
제목
석공의 혼이 담긴 고달사지 흔적
작성일
2015-05-07
작성자
문화재청
조회수
3217

석공의 혼이 담긴 고달사지 흔적. 도시 장터에서 멀리 떨어진 곳, 아늑한 곳이라고 하면 정겨움도 묻어나는 곳이다. 굽어지고 휘어진 도로는 겨울의 빈 들판을 맘껏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천년의 세월이 멈춰진 곳 여주 고달사지를 향했다. 비어 있으면서도 가득 차있는 흔적, 조용하면서도 가슴이 뛰는 곳, 고달사지만이 품어 있는 감동이 있다. 흔적만큼이나 넓은 절터에는 예술적 가치와 역사적 가치가 함께 공존하는 곳이다. 01. 팔각을 기본으로 하여 쌓아 올린 국보 제4호 고달사지승탑. 두 마리의 거북은 사실감을 느끼게 하고 각 거북을 사이에 두고 네 마리의 용이 구름 속에서 용트림하는 모습을 하고 있다.

신라 경덕왕 23년에 창건되어 고려 광종 1년에 중건되어 또 다시 원종 1년인 1260년에 지금의 사찰 터를 확장되었다고 전하고 있으나 지금은 그 흔적으로 석조물과 발굴과정에서 드러난 건물터가 증명해 주고 있을 뿐이다.

넓은 절터를 바라보면 고려의 융숭했던 불교의 흔적을 잠시나마 생각할 수 있는 시간과 되돌려줄 수 있을 만큼의 감동까지 담을 수 있는 역사의 현장이다. 건물터 샛길로 걷다 보면 옛 스님의 손맛을 창조해내었던 2기의 석조는 사찰음식의 출발지가 아닌가, 느껴진다. 주초석 마저 남기지 않는 건물지에는 발굴과정에서 드러났던 흔적을 소개해 두어 그나마 사찰의 구조적 특징을 얻을 수 있는 교육의 현장이기도 하다.

원형을 잘 유지해온 석불 대좌는 쉽게 볼 수 없는 거대한 석조물이다. 사방으로 둘린 연화문과 이를 보호하기 위한 금당지의 흔적은 고달사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잣대로 볼 수 있다.

지난해 이곳을 찾았을 때는 귀부와 이수만이 남아 있던 원종대사탑비(보물 제6호)는 이제 비몸을 갖춘 완전한 모습으로 복원되어 우뚝 섰다. 무거운 비몸을 등에 얹고 매우 험상궂은 얼굴에 격동적이고도 사실적인 발톱은 금방이라도 앞으로 나가려는 기세다. 소용돌이 구름을 장식한 비좌는 무거운 비를 공중에 띄워놓은 듯한 느낌을 주며, 구름 속에서 용트림치는 용의 기상의 머릿돌까지 격동적이고 사실에 가까운 감동을 준다.

02.03. 고달사지에서 발견된 2기의 석조물. 고달사는 신라 경덕왕 23년에 창건되어 고려 광종1년에 중건되어 또 다시 원종 1년인 1260년에 지금의 사찰 터를 확장되었다고 전하고 있으나 지금은 2기의 석조물과 건물터만이 이를 증명해 주고 있을 뿐이다.

머리가 잘려나가고 몸만 남아 있는 귀부는 누구의 탑비로 사용되었던 것인지 알려지지 않지만, 한때는 고달사를 만들어냈던 스님의 흔적이었다. 발가락은 금방이라도 앞으로 나갈 것 같지만, 방향을 잡을 수 없는 몸은 언제나 그 자리에 머문다.

산으로 가는 길은 듬성듬성 짝을 맞춘 돌계단이다. 계단이 끝나는 지점에 주인이 누구인지 알 수 없는 승탑이 오롯이 자리하고 있다. 팔각을 기본으로 하여 쌓아 올린 승탑은 국보 제4호인 고달사지부도이다. 두 마리의 거북은 사실감이 느끼는 입체감을 느끼게 하고 각 거북을 사이에 두고 네 마리의 용이 구름 속에서 용트림하는 모습으로 채웠다. 특히 추녀 아래에는 새겨져 있는 구름무늬와 천상의 여인이 손에 든 기물과 옷, 몸의 곡선이 유연하고 아름답게 표현되었다.

또 다른 계단을 내려서면 원종대사탑(보물 7호)이 자리하고 있다. 탑비와 함께 거의 완전한 형태로 잘 보존되어 오고 있다. 원종대사는 통일신라 경문왕 9년에 태어나 고려 광종 9년에 입적한 고달사를 중건한 고승이다. 기단부의 가운데 받침돌 밑은 아래·위로 피어오르는 구름무늬를 조각하고, 그 사이에는 거북이가 몸을 앞으로 두고, 추녀 아래에는 위쪽의 승탑처럼 구름무늬와 천상의 여인이 아름다운 선으로 표현되어 있다.

04. 원형을 잘 유지해온 석불대좌. 사방으로 둘린 연화문과 이를 보호하기 위한 금당지의 흔적은 고달사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잣대로 볼 수 있다.

고달사지는 고려시대의 불교문화를 간직한 소중한 유산이다. 종교적 의미가 갖는 가치와 불교의 예술적 가치가 함축되어 있어 현대에 이르기까지 식지 않는 전통문화를 여과 없이 보여주는 현장이다.

겨울의 하루해는 짧기만 하지만 긴 역사 속에 빠져들어 해지는 것도 잠시 잊을 수 있었다. 답사는 또 다른 문화유산을 찾을 수 있는 충전의 기회가 되었다.

독자참여 안내,<문화재 사랑과 만나다> 코너는 독자 여러분이 만드는 코너입니다. 여행에서 만난 문화재, 내가 가장 사랑하는 문화재, 우리 역사의 흐름을 알 수 있었던 박물관 등 문화재와 관련된 독자 여러분의 기고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정해진 주제는 없으며 문화재에 관한 소중한 이야기, 나누고 싶은 이야기를 언제든지 보내주시면, 기쁜 마음으로 지면에 싣도록 하겠습니다. 아래 양식에 맞는 원고와 사진을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와 함께 보내주세요. · 원고분량 : A4용지 기준 1장(10pt) · 사진 : 해당 여행 관련 사진 5매 이상 · 보내실 곳 : 문화재청 대변인실 김수현(nicosia@korea.kr)

 

글·사진. 정진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